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16 19:35 수정 : 2006.06.16 19:35

사설

한달여 전부터 시작된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움직임이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는 듯하다. 우리 정부도 긴장하고 있다. 북한의 대포동 2호 개량형 미사일은 태평양을 건너 미국 본토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본격적인 ‘미사일 위기’가 닥칠 가능성도 없지 않은 분위기다. 강경은 더한 강경을 불러 사태를 악화시킬 뿐이다. 북한은 즉각 미사일 발사 준비를 중지해야 한다.

북한은 지난해 초 핵무기 보유를 선언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장거리 미사일이 발사될 경우 주변 나라들이 느낄 위협은, 북한이 1998년 대포동 1호 미사일을 쐈을 때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미국과 일본은 최대한의 대북 제재를 시도하면서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에 속도를 낼 것이다. 중국도 미국과 대결하면서까지 북한을 옹호할 이유가 없고, 지난 몇 해 어렵게 쌓아온 남북 관계도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내년까지 이어질 한·미·일의 선거에서도 대북 강경파가 유리해지기 쉽다.

반면, 북한은 힘을 한번 과시했다는 자존심 충족을 제외하면 고립과 고난밖에 얻을 게 없다. 곧, 미사일 발사는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모험주의의 산물이다. 이런 분명한 손익계산은 북한이 함부로 미사일을 발사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도 된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라는 위험한 카드를 꺼낸 직접적인 이유는 금융제재 등 미국의 압박을 완화하고 6자 회담 재개와 관련해 양보를 얻어내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북한은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를 불신하면서도, 적당한 명분이 주어지면 6자 회담에 나오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달 초 6자 회담의 미국 쪽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의 방북을 제안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렇다면 미국으로서도 북한을 몰아붙이기만 할 것이 아니라 6자 회담이 재개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미국 정부가 이란과는 직접 대화를 하겠다면서도 북한을 두고서만 거부하는 것은 모순이다. 미국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 위원장인 리사 머코스키 의원(공화)도 힐 차관보의 방북 허용을 주장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가 은근히 북한의 강경 움직임을 유도하고 있다’는 일부의 지적이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

우리 정부는 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지난달부터 북쪽에 우려를 표명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우려가 현실로 되지 않도록 더 분명하게 의사를 전달해야 할 시점이다. 미국이 북한에 유연한 태도를 보이도록 한-미 공조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반도에서 긴장이 높아지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한국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