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12 19:43 수정 : 2006.07.12 19:43

사설

‘방과후 학교’만큼 큰 기대 속에 시행된 정책도 없다. 사교육비 경감, 교육격차 해소, 방과후 보육이라는 목표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으니 그럴만도 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국채를 발행해서라도 지원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런 방과후 학교가 전국 초·중·고교로 확대시행한 지 한 학기가 지났다. 이전 시범시행 경험을 살렸다지만, 짧은 연륜으로 말미암은 시행착오는 피할 수 없었다. 많은 학교는 또다른 사교육이라는 빈정거림 속에 외면당했다. 그러나 일부 학교는 학생·학부모의 호응 속에 성공적인 대안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표류하는 방과후 학교의 공통점은 상위권 학생을 위한 과외수업으로 진행된다는 데 있다. 특목고 입시 대비 선행학습 프로그램 등만 운영하는 학교도 있고, 영어나 수학 등 주요 과목 수강료가 강좌당 20만원에 이르는 곳도 있다. 저소득층 자녀나 중하위권 학생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반면 성공적인 방과후 학교는 교과목 학습에서 특기적성 강좌에 이르기까지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저렴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학습은 심화반과 보충반으로 나눠 운영하며, 드럼·요가·도자기 등 다양한 문화·예술 강좌가 진행된다. 강원도의 한 시골 중학교는 매년 20~30명씩 대도시로 빠져나가던 학생이 방과후 학교의 정착과 함께 4명으로 줄었다고 한다. 경북의 한 학교는 기업체와 연계해 영어회화 및 특기적성 강좌를 무료로 운영한다. 호응이 높을 수밖에 없다.

방과후 학교에는 두 가지 상충하는 기대가 걸려 있다. 학습력 신장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가 하나고, 방과후 방치되는 저소득층 및 맞벌이 부부 자녀 등의 돌봄이라는 교육적 기대가 그것이다. 첫째만 강조하면 학교가 학원화할 위험이 있고, 둘째만 강조하면 많은 학생이 외면하게 된다. 어느 쪽도 포기할 수 없다. 따라서 문제는 두 기대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있다.

열쇠는 현장에 있다. 문제풀이식 프로그램이나 선행학습이 위주가 될 경우 실패했다. 다양한 특기적성 강좌를 확충하고 상담 및 인성교육 등 돌봄 기능을 병행할 때 호응은 높았고, 저소득층 아이들이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였줬다. 교육 당국이 할 일은 이들에게 지원을 늘리는 것이다. 수혜자 부담 원칙은 포기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