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26 18:15 수정 : 2006.07.26 18:15

사설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조성된 강경 대치 국면이 풀릴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북한 압박 움직임이 구체화하는 가운데 북한은 자신의 정당성만 강변하고 있는 까닭이다. 어제부터 말레이시아에서 시작된 아세안+3 외무장관 회의와 아세안 확대 외무장관회의, 아세안지역포럼(ARF) 외무장관 회의가 주목받는 것은 이런 상황 탓이다. 한국을 비롯해 미·중·일·러 외무장관이 참석하는 것은 물론이고 북한 외무상도 31일까지 머물 예정이다.

북한으로선 미사일 발사가 빚어낸 국제사회의 우려를 씻는 데 이번만큼 좋은 기회는 없다. 북한은 또한 6자 회담이 제자리를 찾도록 전향적인 자세를 보임으로써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 좋은 모습은 중국이 밝힌 28일 비공식 6자 회담 또는 회동에 북한이 참가하는 것이다. 미국도 6자 회담 안에서 얼마든지 양자 대화를 할 수 있다고 한 만큼 북한이 회담을 피할 이유가 없다. 이번 기회마저 흘려보낸다면 북한의 고립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경고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된 사실을 북한은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의 구실도 중요하다. 반 장관은 백남순 외무상을 만나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분명히 전하고, 한국이 가진 모든 자원을 활용해 북한의 6자 회담 복귀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반 장관이 어제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열고 미사일 위기 국면을 외교적으로 풀기로 뜻을 모은 것은 시의적절하다.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실질적인 수단을 가진 나라는 결국 한국과 중국인 만큼 두 나라의 공동보조는 사태 해결 노력에서 큰 의미가 있다. 북한이 6자 모임을 거부할 경우에 대비해 거론되는 8자 또는 9자 회동도 외교적 해결 원칙 위에서 북한 문제를 논의해야 할 것이다.

북한은 미사일 문제든 핵 문제든 스스로의 논리에 갇혀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외면해서는 사태가 더 악화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국제사회 여론도 시간이 지날수록 북한에 더욱 불리하게 될 것이다. 다른 참가국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북한으로선 6자 회담에서 협상을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다. 북한이 회담에 복귀하기 쉽도록 미국도 대북 압박·제재 움직임을 자제하는 것이 옳다. 파국이 오면 두루 큰 상처를 입게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