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혀 새로운 방식의 노동운동’을 깃발로 내건 뉴라이트 신노동연합이 출범했다. 신노동연합은 이를 통해 투쟁 일변도의 기존 노동운동을 바꾸고,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양질의 일자리 축소와 비정규직 증가, 청년 실업 및 중장년 퇴출 증가 등 날로 악화되는 노동조건과 격렬해지는 노-사, 노-정 충돌이 빚어낸 여러 변이현상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물론 노동자 처지에서 우리 시대의 가장 큰 문제인 일자리 창출과 삶의 질 향상을 이루겠다고 하니, 기대를 걸어본다.문제는 방법이다. 신노동연합은 노사 가치관 개혁운동, 일터사랑 실천운동, 프로 노동자 배출 운동 등을 제시했다. 어디서 많이 듣던 말들이다. 경총이나 전경련 등 사용자 단체는 물론 새마을운동 단체 등 관변단체들이 떠들던 구호다. 노동자가 내놓은 것이 새롭긴 하지만, 누가 내놓든 노동력 착취와 노동운동 탄압을 은폐하려는 그 본질에는 변함이 없다. 우리 노동자는 지금도 경제협력개발기구 나라 가운데 제일 긴 노동시간을 자랑한다.
노동자 삶의 질을 악화시킨 것은 투쟁형 노동운동 때문이 아니다. 무차별적인 세계화 파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기업들이 무더기로 도산하고 있다. 저임금 등에 기대어 생산성 향상에 투자하지 않았던 탓이다. 생존 기업은 이를 핑계로 일자리를 줄였다. 이어 일자리 창출을 빌미로 정규 노동자를 비정규 노동자로, 그리고 실업자로 내몰았다. 노동자는 계속 가난해졌다. 이런 사실을 외면하고는 일터사랑 운동 따위를 입에 담을 수 없다. 노동자들은 결코 투쟁을 즐기지 않는다. 금전적인 손실, 육체적·정신적 시달림을 누가 바랄 것인가. 노동자도 상생하고 협력하며 회사를 발전시키고 싶어한다.
권용목 공동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노동자가 앞장서 일터를 사랑하고 열심히 일한다는 것을 투자자에게 보여주면, 기업에 돈이 오고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다.” 노동운동에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양식이 의심스럽다. 그래서 ‘반노동’에 앞장서온 이명박씨는 이 단체를 두고 “대한민국이 기다리던 옥동자”라고 말했다. 이 단체의 정치 지향성에 대한 의구심이 바로 제기되는 이유다. 물론 노동운동 출신이 정치에 뛰어드는 걸 막을 이유는 없다. 그러나 ‘반(反)노동’에 봉사하려 ‘노동’을 파는 짓만은 해선 안 된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