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16 20:11 수정 : 2006.10.16 20:11

사설

지난주말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대북 압박 강화몰이가 본격화하고 있다. 자칫하면 과거 이라크의 경우처럼 돌아올 수 없는 수준으로 사태가 악화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노력도 더 절실해졌다.

미국은 제재 강화를 중심으로 새판을 짜겠다는 뜻을 갖고 한국과 중국에 압력 수위를 높이고 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존 볼턴 유엔주재 대사 등 미국 정부 주요 인사들은 중국이 대북 지원 중단 등 강력한 조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볼턴 대사는 조지 부시 대통령이 군사적 대안을 배제하지 않았다고도 했다. 또 딕 체니 부통령 측근들은 일본이 핵 개발에 나설 수 있다는 경고까지 하면서 중국 쪽에 단호한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고 〈뉴스위크〉 최신호가 전했다. 오는 19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일 외무장관 회동에서도 라이스 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외상은 대북 제재 강화를 집중적으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대화의 ‘대’자도 거론하지 않은 채 대북 봉쇄에만 골몰하는 이런 태도는 북한 핵실험에 맞먹는 또다른 모험주의로, 그대로 진행될 경우 사태 악화가 불을 보듯 뻔하다. 북한 정권이 압박을 못 이겨 굴복하거나 체제가 붕괴할 거라는 가정은 근거가 빈약하며, 압박 강화는 북한의 격렬한 반발만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각국의 대응은 대화와 협상을 성공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 데 집중돼야 하고, 제재는 보조 수단에 머물러야 한다.

우리 정부가 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우선 미국이 요구하는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확대를 거부하고, 미국과 일본이 한반도 근해에서 북한과 무력충돌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지 않도록 요구해야 한다. 공해에서 특정국의 선박을 강제로 세워 살피는 행위는 그 자체로 초법적이다. 미국 정부내 일부 인사들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을 문제 삼는 것도 받아들일 수 없는 월권으로서, 확실히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 경협 등 평화적 남북 교류·협력이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상황 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나아가 우리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화 틀을 짜는 데 핵심적인 구실을 해야 한다. 이제까지 논의해 오던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을 더 진전시켜 북-미 직접 대화를 포함한 대타협 방안을 만들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대북 특사 파견 등 고위급 남북 채널을 활용하는 것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재보다는 대화를 중시하는 중국·러시아와의 협력은 물론, 미국·일본과의 접촉도 대화 틀 마련에 집중하도록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

국내 일부 세력이 주장하듯이 제재에 무비판적으로 동참하는 것은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포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사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는 북한의 추가 조처도 있어선 안 되지만, 봉쇄 위주의 대북 대응도 위험하다. 지금 한국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북한 핵문제의 진전 방향이 달라진다는 점을 명심하고 대화로 해결하려는 모든 노력을 기울일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