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10 19:24 수정 : 2005.03.10 19:24

원-달러 환율이 어제 한때 980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정부의 개입으로 간신히 1000원대를 유지했다. 얼마 전에도 달러 환율은 장중에 1000원 아래로 떨어진 바 있다. 시장에서는 다소 반등은 있겠지만 대체로 이제 세자릿수 환율을 주어진 현실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세자릿수 환율은 외환위기 뒤 7년여 만에 처음이어서 의미가 가볍지 않다. 당장 회복 낌새를 보이는 우리 경제에 악재가 되지 않을지 걱정하는 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잖은가. 특히 환율 하락 속도가 빨라 더 그렇다. 정부와 기업이 치밀하게 대응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달러 약세, 곧 원화 강세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계속 커지는데다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달러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 당국이 외환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데 적잖은 부담이 따른다. 미국과 아이엠에프 등이 은근히 이런저런 압력을 넣고 있고 비용도 만만찮다. 외환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면 환투기를 부르고 결국에는 급격히 조정해야 할 상황에 몰릴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최근의 환율 변동폭은 우리 경제가 감내할 만한 적정선을 넘어섰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올 들어 엔화나 유로화 등의 가치가 달러화에 비해 2% 이상 절하된 반면, 원화는 3% 이상 절상됐다. 우리 수출품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대기업들은 조금 덜하겠지만 중소기업들한테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외환 당국이 나서서 환율 하락 속도를 어느 정도라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이 대응할 여유를 좀더 갖도록 적절한 미세조정이 요구되는 때다. 외화자산 운용도 신중하고 세련되게 해야 할 것 같다. 일본, 대만, 유럽연합 등과 협조해서 함께 대응하는 것도 생각해 봄직하다.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부담을 메우도록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