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 곧 원화 강세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계속 커지는데다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달러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 당국이 외환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데 적잖은 부담이 따른다. 미국과 아이엠에프 등이 은근히 이런저런 압력을 넣고 있고 비용도 만만찮다. 외환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면 환투기를 부르고 결국에는 급격히 조정해야 할 상황에 몰릴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최근의 환율 변동폭은 우리 경제가 감내할 만한 적정선을 넘어섰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올 들어 엔화나 유로화 등의 가치가 달러화에 비해 2% 이상 절하된 반면, 원화는 3% 이상 절상됐다. 우리 수출품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대기업들은 조금 덜하겠지만 중소기업들한테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외환 당국이 나서서 환율 하락 속도를 어느 정도라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이 대응할 여유를 좀더 갖도록 적절한 미세조정이 요구되는 때다. 외화자산 운용도 신중하고 세련되게 해야 할 것 같다. 일본, 대만, 유럽연합 등과 협조해서 함께 대응하는 것도 생각해 봄직하다.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부담을 메우도록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