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제까지 ‘집안 싸움’만 할 셈인가 |
전국민주노동조합 총연맹의 대의원대회가 다시 무산됐다. 사회적 협약안건을 다룰 대의원대회가 세 번이나 무산됨으로써 민주노총은 안팎으로 위기를 맞았다. 더구나 정부·여당과 한나라당이 비정규직 확대 법안을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민주노총의 위기는 파장이 클 수밖에 없다.
대회가 무산된 뒤 민주노총은 “대회 자체를 물리력으로 원천봉쇄하는 행위에 대해 더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노사정 대표자회의를 조만간 재개한다는 방침 아래 다양한 의견 수렴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비정규직법안 등 시급한 현안을 앞에 두고 노동계 전체가 나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이런 마당에 단상을 점거해 세 차례나 대회 자체를 열지 못하게 한 반민주적인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다만, 민주노총은 대의원대회가 세 번이나 무산된 만큼, 그 이유가 무엇인지도 냉철히 짚어볼 필요가 있다. 집행부 안에서도 “조합원들이 사회협약 안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 것은, 그만큼 내부 논의가 더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사회적 협약 논의가 긍정적으로 이뤄지려면, 정부와 사용자도 자세를 바꿀 필요가 있다. 노동정책이 후퇴하고 있고,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사태처럼 사용자의 자세도 완강한 상황에서, 노사정 대화가 과연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민주노총의 자기 성찰이다. 대의원대회가 세 차례나 무산되는 과정에서 불거진 ‘폭력사태’로 노동운동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퍼져가고 있다. 그것은 사회적 협약안 추진세력이나 반대세력 모두에게 자칫 공멸을 불러올 수 있다. 민주노총 내부 갈등의 주체들이 열린 마음으로 ‘이견 해소’에 나서길 촉구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