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시민사회의 ‘과거청산’ 연대 |
한국과 일본의 교육 관계자들이 일본 역사교과서의 왜곡에 대응하는 공동 세미나를 열었다. 대구 전교조와 히로시마현 교직원조합은 두 나라 학생들이 같이 이용할 부교재를 만들어 4월에 낼 예정이라고 한다. 또 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 문제와 일본 시마네현의 ‘독도의 날’ 제정과 관련해 양국 시민단체들이 손잡고 일본 역사왜곡을 해결하기 위한 집회도 잇따라 열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올바른 과거청산의 현실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 일 양국의 공동 부교재 발간만 해도 두 나라 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관과 역사 이해에 대한 공통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역사왜곡을 바로잡는 데 큰 힘이 될 수 있다. 또 이런 움직임의 확산은 우익의 억지나 망동을 막고 정부나 지자체에는 과거청산을 압박하는 실질적인 힘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번 기회에 일본의 건강한 시민사회를 주목하게 된 것도 큰 소득이다. 과거청산 문제는 일본 우익들과 싸워서 해결할 수 없으며, 이들 시민사회와 냉철하고도 이성적인 대화를 통해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일본 시민단체 회원들의 목소리를 경청할 만하다. 이제 시작에 불과하고 규모도 작지만 이런 시민사회의 연대를 소중하게 키워나가야 할 이유가 여기 있다.
이 연대를 넓혀가기 위해서는 우리부터 진실과 정의에 입각한 의연함을 지녀야 함은 물론이다. 감정적 대응이나 과격한 행동, 지나친 언사는 오히려 우리 주장의 정당성을 반감시키는 역작용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외교부가 마산시의회의 ‘대마도의 날’ 조례 철회를 요청한 것은 적절한 조처라고 생각된다. 이는 자칫 불필요한 외교 공방이나 분쟁을 불러와 일본 우익들의 전략에 말려들어가는 꼴이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진실을 밝히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 되고 만다. 아무리 일본의 억지를 드러내기 위한 방편이라 해도 한편으로 타기하면서 같은 방법을 쓰는 것은 설득력이 모자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