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 대비 제대로 하라는 ‘경고’ |
지난 일요일은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몸으로 경험한 하루였다. 고층건물이 흔들리고 엘리베이터가 멈춘 부산·경남 쪽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몸으로 진동을 느꼈다. 일본 후쿠오카 북서쪽 45㎞ 해역을 진앙으로 하는 이번 지진은 필리핀 지각판이 유라시아판에 부닥치면서 일어났고, 그 충격이 양산단층대에 전해지면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지질학자들의 분석이다. 또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규슈 북부에서 리히터 규모 7의 강진이 발생함으로써 우리나라 동남해안의 지진해일 위험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렇게 지진과 해일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사실과 함께, 그에 대한 우리의 대비가 턱없이 허술하다는 점 또한 확인되었다. 우리 기상청은 후쿠오카 북서쪽 해역에서 강진이 발생한 지 27분 만에야 지진해일 주의보를 내렸다. 이에 따라 해당 시·도가 주민들에게 대피 등의 지시를 내린 시각은 지진 발생 37분 후로, 만약 대규모 해일이 닥쳤다면, 이미 해안을 휩쓸었을 시간이었다. 방송들도 자막을 통해 남해안의 지진 사실을 ‘보도’하기는 했지만, 지진해일에 대비하라는 ‘기상특보’는 해일이 지나간 다음에야 했다. 또 대피 등의 지시에 무심하기는 해변가의 관광객이나 시민들도 마찬가지였다.
다행히 큰 피해는 없었지만, 이번 경험은 우리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므로 제대로 대비하라는 경고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지진이나 해일은, 태풍과도 달리, 급작스럽게 닥치는 재난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속정확한 자료분석과 판단이 첫째요, 둘째는 지체 없는 시행이다. 일본 등 주변국과의 자료협력 체계도 더욱 긴밀하게 해야 하며, 시민교육도 필요하다. 건물 내진설계 수준도 강화해야 한다. 우리는 울진·영광·고리 등 해안을 따라 20기 가까운 원자력발전소를 돌리고 있기에 더욱 철저하게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