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4.26 01:47
수정 : 2007.04.26 01:47
사설
4·25 재·보궐선거 결과는 한마디로 한나라당의 패배이자 무소속의 승리라고 집약할 수 있다. 한나라당은 국회의원 선거 3곳에서 경기도 화성에서만 승리했을 뿐 대전 서을은 심대평 국민중심당 후보에게, 전남 무안·신안은 김홍업 민주당 후보에게 졌다. 지역구도가 강하게 형성했던 국회의원 선거야 어느 정도 결과가 예상됐다고 하더라도 수도권과 한나라당 텃밭인 영남 등에서 치러진 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 선거에서마저 대거 무소속 후보에게 진 것은 일반의 예상과 다른 결과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영남뿐 아니라 수도권의 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에서 승리를 석권하다시피 했던 것과 비교하면 너무나 대조적이다. 중앙당과 대선주자까지 모두 나서 총력을 기울였던 한나라당으로서는 상당한 충격에 휩싸일 만도 하다.
지난 총선 이후 연전연승하던 한나라당이 이번에 처음으로 대거 패배한 데에는 외부적인 요인이 없지 않다. 즉, 한나라당 공천 탈락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지지기반을 가른 반면에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등 이른바 범여권은 공식적인 선거연합은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취약지에 후보를 서로 내지 않음으로써 대부분 지역의 선거 구도가 한나라당 대 비한나라당으로 짜였던 것이다. 애초 한나라당에 구조적으로 불리한 구석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한나라당의 패배를 설명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공천 과정과 선거 과정에서 잇따라 터진 돈 공천 파문과 과태료 대납 사건, 후보자 매수 미수 사건 등 오만하고 낡은 정치행태가 유권자 표심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즉, 미래에 대한 비전 없이 정부 여당의 실정으로 인한 반사이익만으로 집권을 꿈꿔서는 안 된다는 유권자들의 엄중한 경고이기도 하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국민중심당 등 이른바 범여권 역시 “통합세력의 승리” “중도개혁세력의 중심을 입증한 것”이라고 아전인수 식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기본적으로 반한나라당과 지역주의 정서의 결과이지 정당의 이념과 가치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대나 통합을 추진하기에 앞서 자신의 정책과 노선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 이와 함께 재·보궐선거 투표율이 이번에도 30%에도 미치지 못한 점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라 아니할 수 없다.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고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