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4.26 19:05 수정 : 2007.04.27 15:02

사설

4·25 재·보궐 선거 후폭풍이 만만찮다. 특히 예상밖 참패를 당한 한나라당은 책임론과 당 쇄신론으로 소란스럽다. 민심의 무서움을 알았다는 반성도 무성하다. 하지만 이번 선거를 통해 반성하고 경계해야 할 데는 한나라당만이 아니다.

이번 재보선 결과는 정치권 전체에 대한 불신의 반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가 대거 당선된 것이라든지, 원내 1·2당이 맞붙은 경기 화성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투표율이 20%도 안 된 것은 기존의 양대 정당을 거부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한나라당이 경북과 경기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한 것도 민심의 준엄한 경고지만, 열린우리당이 전국적으로 후보 14명을 내고도 기초의원 한 명을 당선시킨 데 그친 것은 정치적 사망선고에 가깝다. 열린우리당이 상대의 패배에 웃을 때가 아니다.

이번 재보선 결과는 정당들이 새로 태어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한나라당의 경우, 대세론의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나라당 지지율이 50% 이상으로 치솟은 것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거부감이 확산된 데 따른 반사이익일 뿐이다. 국민의 필요에 발맞춘 정책 생산이나 비전 제시로 이룬 게 아니다. 한나라당의 변화와 혁신을 가로막은 것은 ‘이대로 가도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당선이 되는데 왜 바꾸느냐’는 생각이 만연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많다. 국민의 3분의 2가 중도 또는 진보 성향이라는데도 한나라당이 보수적 시각에서 한치도 움직이려 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한나라당의 변화를 기대한다.

열린우리당의 문제는 더 심각하다. 열린우리당은 이번 재보선을 ‘반한나라당을 내세운 범여권의 승리’라고 애써 주장하지만, 다른 당이 동의하는 것 같지는 않다. ‘어떻게 되겠지’ 식의 막연한 기대와 무력감은 재보선 뒤에도 여전하다. 열린우리당은 정치공학적 접근에 앞서, 스스로의 정책과 노선을 분명히하면서 중심을 잡아야 한다.

이번 재보선은 주요 정당들의 이런 약점이 지역주의가 파고들 공간을 만들어주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 선거다. 충청권 독자세력을 내세운 국민중심당과 김대중 전 대통령에 기댄 민주당이 이길 수 있었던 게 그런 것이다. 선거 뒤에는 중도개혁 세력 통합론 등 이에 편승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정치권이 지역주의를 바탕으로 한 이합집산에 휘둘리면서 방향을 잃을 가능성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