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6.25 18:11
수정 : 2007.06.25 19:16
사설
2008년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고3 학생들은 1학기 기말고사를 눈앞에 두고 있다. 2학기 수시에 제출되는 학교생활기록부(내신)엔 이 시험 성적까지 기록된다. 교육부 뜻대로 내신 실질반영률이 높아진다면, 고교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이 될 것이고, 이른바 주요 대학들의 뜻대로 무력화된다면 의미 없는 시험이 될 것이다. 수험생들에겐 어느 쪽이든 빨리 정해져야 한다. 그러나 주목도가 가장 높은 이들 대학의 내신 반영률은 오리무중이다. 이로 말미암아 등이 터져 나가는 건 애꿎은 수험생들이다.
이런 상황을 서둘러 매듭짓기 위해 어제 교육부가 절충안을 내놨다. 각 대학이 내신 실질반영률을 50%로 확대하는 연차적 계획을 제시할 경우, 이 계획의 타당성과 등급 간 점수차의 합리성 등을 검토해 제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8월20일까지 내신 실질반영률이 포함된 정시모집 요강을 발표해야 한다는 조건도 덧붙였다. 교육부가 지난 3월과 4월 각 대학의 입시 주요 사항이 발표됐을 때 문제점을 파악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수험생이 지금 겪는 혼란을 고려하면 불가피해 보인다.
이젠 대학이 태도를 정해야 한다. 더는 수험생들에게 고통을 줘선 안 된다. 그동안 기득권 유지를 위해 교육 당국과 사사건건 충돌해온 것만으로도 수험생들에게 충분한 스트레스를 줬다. 여기에 내신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 않아 수험생들을 막판까지 이른바 수능·내신·논술 등 죽음의 트라이앵글에 묶어둬선 안 된다. 내신 실질반영률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높일 것인지, 아니면 교육부 방침을 거부할 것인지 각 대학은 분명히해야 한다. 공교육 살리기 차원에서 내신을 중시하자는 정부의 뜻을 따를 수 없다면, 정부의 재정적 지원도 받지 않는 게 옳다.
정부 정책은 거부하면서 정부 지원은 계속 받겠다는 건 비겁하다. 이른바 주요 대학을 자처하는 대학이 할 짓도 아니다. 3년 전 발표된 정책에 대해 이제 와서 입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등 터무니없는 변명을 늘어놓는 것도 볼썽사납다. 이들 대학은 지난해 5월 내신 50% 원칙을 수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금의 고3들은 이 제도가 불만스럽긴 해도 이에 적응하기 위해 무진 애를 썼다. 그런 수험생들을 기만하고 괴롭힐 자유는 누구에게도 없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