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8.13 18:48 수정 : 2007.08.14 00:14

사설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 후보의 서울 도곡동 땅 차명보유 의혹과 천호뉴타운 개발정보 사전유출 의혹 등에 대한 검찰의 중간수사 결과가 어제 발표됐다. 의혹을 해소하기에 크게 부족하다. 특히 검찰은 도곡동 땅 가운데 이 후보의 친형 이상은씨 지분은 제3자의 차명소유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소유주는 관련자들의 비협조와 자료 미비 탓에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앞으로 집중적인 수사가 필요한 대목이다. 이 후보의 ㈜다스 지분 소유 여부도 같은 이유로 판단할 수 없었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다스가 투자했다는 비비케이의 주가조작 의혹 관련 여부 등 또다른 굵직굵직한 의혹들도 여전히 남게 됐다. 다스의 자회사인 홍은프레닝의 개발정보 이용 논란에 대한 수사 결과도 불법적 특혜의 증거를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는 정도여서, 의혹이 말끔히 풀렸다고 보기 어렵다.

검찰은 이들 의혹을 계속 수사해 실체적인 진실의 뿌리를 캐내야 한다. 중간수사 결과 발표가 사실상의 수사 종료로 이어지는 전철이 이번 사건에서 되풀이되어선 안 된다. 이들 의혹이 장래 국가 지도자의 도덕성과 관련된 것이기에 더욱 그렇다.

일부 관련자들의 비협조 행위는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검찰 발표를 보면, 이상은씨의 도곡동 땅 지분이 실제 누구 소유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도곡동 땅 매각대금 관리자 등이 검찰의 거듭된 출석 요구에 2주 이상 응하지 않고 있다. 다스 임직원들도 검찰의 출석 요구와 회계자료 제출 요구를 무시하고 있다고 한다. 도곡동 땅이 실제 이명박 후보 소유라는 말을 했다는 김만제 전 포철회장 역시 한나라당의 방침을 이유로 출석을 거부했다. 모두 검찰의 수사 진행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수사 방해에 해당된다. 이 후보 진영 국회의원의 보좌관도 박근혜 경선후보 비방 기자회견을 뒤에서 주도했다는 혐의가 드러나자 검찰에 자진 출석하겠다고 밝혔다가 며칠 전부터 갑자기 잠적했다.

이들의 불출석에 대해선, 오는 19일 한나라당 경선에 끼칠 검증 수사의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불출석한 관련자들과 직간접으로 관련돼 있는 이 후보 쪽을 겨냥한 의심이다. 이런 의심이 일부라도 사실로 드러나면 조직적인 사실 은폐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이 후보 진영은 관련자들이 검찰에 출석하도록 적극적으로 촉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