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8.20 18:31 수정 : 2007.08.20 18:31

사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17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후보로 선출됐다. 이 후보는 경선전 내내 각종 조사에서 다른 후보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막상 뚜껑을 열었더니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오히려 박근혜 후보에게 432표 뒤졌다. 이 후보는 전체의 20%를 반영하는 여론조사에서 8.5% 포인트를 앞서 결국 2400여표의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이 후보가 막판에 고전한 것은 서울 도곡동 땅을 차명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 등 검증을 둘러싼 논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약점이 많은 후보를 내세워서는 본선에서 필패한다는 박 후보 쪽의 주장이 이회창씨의 두차례 대선 패배를 목격했던 한나라당 지지자들에게 상당히 먹힌 셈이다. 자신의 기대와 달리 박빙으로 승부가 끝난 결과를 이 후보는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하늘이 두쪽나도 내 땅이 아니다”는 막연하고 선언적인 주장만으로는 당내 결집을 이루는 일부터 어려울 터이다. 현재로서는 집권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당의 후보가 된 만큼 이 후보는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래야 여권 후보 등과 치를 본선이 미래지향적인 비전과 철학을 놓고 다투는 정책 대결이 될 수 있다.

한반도 대운하 건설과 ‘747 구상’(연평균 7% 성장, 10년내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세계 7대 경제강국) 등 주요 공약도 당과 협의를 거쳐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당 경선 후보 시절의 공약이 바로 공당의 공약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구나 대운하는 경제성 및 환경 훼손 논란에 휩싸여 있으며, 747 구상은 구체성이 결여돼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보다는 당 안팎 전문가들의 의견과 여론을 수렴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경선과정에서 심화된 당내 갈등을 메우는 등 경선 후유증을 극복하는 일도 그의 몫이다. 당내 비주류의 활동을 보장하는 등 정당의 민주적인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 경선에 패배한 후보들의 지원을 얼마나 끌어내느냐는 전적으로 이 후보의 정치역량에 달렸다.

박 후보는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당의 염원인 정권 교체를 위해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다. 당연한 일이지만, 여러 차례 경선 불복의 전례가 있었던 점에 비춰볼 때 신선하다. 정당 민주주의가 한단계 진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