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9.09 18:48 수정 : 2007.09.13 11:43

사설

민주노동당의 대통령 후보가 2차 결선투표에서 가려지게 됐다. 어제 수도권을 마지막으로 전국 권역별 순회 경선을 마친 결과 권영길 후보가 누적 득표율 49.3%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50%에 미달해 26%를 얻은 심상정 후보와 이번주말 결선투표를 벌인다.

최종 결과를 남겨두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이변이라고 할 수 있다. 경선 초반만 해도 권 후보가 1차에서 무난히 과반을 달성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예상이었다. 당내 최대 정파인 자주파의 지지 선언으로 권 후보가 대세를 장악하는 듯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치는 역시 생물이었다. 경선 전 여론조사 지지율이 7%대로 가장 낮았던 심상정 후보는 지역을 돌수록 선전을 계속했다. 민노당 경선의 흥미도 그만큼 높아져 갔다. 지난주 충북에서는 다른 두 후보를 누르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심상정 돌풍’이었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 권 후보와 같은 조직도, 노회찬 후보처럼 대중적 지명도도 없는 심 후보의 부상은 변화를 바라는 일반 당원들의 열망 외에는 달리 설명하기 어렵다.

민노당은 지금 한 단계 도약하느냐, 아니면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 채 정체하느냐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2004년 총선에서 진보정당 사상 처음으로 10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지만, 당 지지율은 정체, 아니 사실상 퇴보해 왔다. 기존 거대 정당들을 대체할 대안세력으로서 비전과 희망을 보여주지 못한 탓이다. 참신하고 다른 색깔의 정치세력으로서 존재 의미는 인정받았지만, 집권 가능성 면에서는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도 내부적으로는 자주파니 평등파니 하면서 자신들만의 용어로 노선 투쟁을 가열시켜 왔다. 국민들 눈에는 생경하게 비칠 수밖에 없었다. 민노당이 대안세력으로 발돋움하려면 이런 관념적이고 자폐적인 논의구조에서 탈피해야 한다. 일반 국민과 유리된 논쟁으로는 국민에게 다가갈 수 없다. 소수 당원들만의 정당이 아니라 다수 민중을 포용하고 대변하는 정당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선 실현 가능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양극화와 비정규직 문제는 어떻게 풀 수 있는지, 남북관계는 어떻게 발전시킬지 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결선투표가 민노당이 국민 대중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