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9.27 18:10 수정 : 2007.09.27 19:06

사설

다음주 열릴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주요 일정이 대체로 정해졌다. 어제 방북 길에 오른 2차 선발대가 일정 협의를 마무리하면 남북 사이의 정상회담 준비 접촉은 사실상 끝나는 셈이다.

의제 협의가 미흡한 건 차치하고라도 일정 협의에서도 아쉬운 점이 적잖다. 이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만날 횟수와 시간이 여전히 확정되지 않은 데서 잘 드러난다. 두 정상이 회담장에서 만나는 날은 사흘 일정 가운데 하루밖에 되지 않는다. 다른 행사장에서 두 정상이 얼마나 동행할지도 아직 불분명하다. 7년 만에 열리는 정상회담이 이래서는 안 된다. 사전 의제 조율이 부족한 만큼 두 정상이 만나는 시간은 충분하게 확보돼야 마땅하다. 다른 일정을 좀 줄이더라도 두 정상이 깊이 있게 얘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북쪽 집단체조 ‘아리랑’ 공연을 관람하기로 한 것은 남북 관계 발전 수준에 비춰볼 때 자연스럽다. 북쪽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북쪽의 관람 요청조차 거부해서는 ‘상호 체제 존중’이라는 남북 관계의 기본 전제에서부터 균열이 생기게 된다. 남쪽 일부 보수세력이 아리랑 공연에 참여하는 북쪽 청소년의 인권 문제를 부각시키는 것도 일부러 시빗거리를 찾는 듯한 느낌이 강하다. 북쪽 역시 남쪽 대표단을 자극하지 않도록 공연 내용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손을 보는 것이 손님에 대한 예의다.

이번 회담의 특별수행원 49명을 일곱 분야로 나누고 각각 간사를 선정해 북쪽과 간담회를 진행하기로 한 것은 남북 교류·협력 논의의 효율성이라는 면에서 합리적이다. 이들은 두 정상의 만남과는 별개로 구체적 사안을 놓고 지속성 있는 논의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노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는 등의 이벤트는 아이디어 차원에선 검토할 수 있으나 무리하게 추진할 것은 아니다. 이번 회담의 성패를 결정짓는 것은 이벤트가 아니라 실질적 성과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은 만남 자체에 큰 의미가 있었으나 이번 회담은 그렇지 않다. 지금은 그간의 남북 관계 진전을 바탕으로 평화와 번영, 통일 등 한반도와 관련한 모든 의제에서 튼튼한 틀을 짜고 내실을 채워나가야 할 때다. 모든 일정은 내용이 충실하면 저절로 빛이 나는 법이다. 열 번 ‘과시’하는 것보다는 하나의 ‘내실’을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