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1.22 19:34 수정 : 2007.11.22 19:34

사설

다음달 1∼2일 <한국방송>과 <문화방송>이 함께 열기로 한 대통령 후보 텔레비전 합동토론회가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각종 여론조사의 지지율 1, 2위인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와 이회창 무소속 후보가 토론회 참석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이것만이 아니다. 이명박 후보는 23일로 예정된 한국노총과 문화방송의 3자 합동토론회 참석을 거부했고, 이회창 후보는 다른 후보들이 모두 출연했던 한국방송의 후보별 1인 토론회 출연까지 마다했다. 또다른 방송 토론회 한둘도 이들이 참석하지 않으려 한 탓에 추진 단계에서 무산됐거나 반쪽으로 진행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여는 공식 텔레비전 토론회가 남아있긴 하지만, 국민으로선 후보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가 그만큼 봉쇄된 것이다.

두 후보가 토론회 참석을 피하려는 이유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텔레비전 생중계에서 상대 후보의 엄한 추궁에 몰리면 쉽게 설명하기 힘든 약점이 있는 탓일 게다. 이명박 후보에겐 비비케이(BBK) 주가조작 관련 의혹 말고도 이미 사실로 확인된 자녀 위장전입과 탈세, 선거법 위반에 따른 국회의원직 상실 전력 등 들춰내면 부끄러운 약점이 한둘이 아니다. 이회창 후보도 이번 출마가 사실상의 경선 불복과 대선 무임승차, 나아가 정치적 배신에 해당한다는 비판을 곱씹는 게 무척 부담스러울 것이다. 그런 생각으로 텔레비전 토론회를 거부한다면 이는 국민들에게 ‘분장된 얼굴’만 내놓겠다는 것이 된다. 국민이 자신의 약점을 잊기 바라는 심산이기도 하다. 곧, 소극적으로라도 국민을 속이려는 게 된다.

애초 텔레비전 토론은 대규모 장외집회와 조직 동원 등 고비용 정치구조를 개선하고 후보자 검증을 좀더 철저히 하고자 도입된 제도다. 우리 정치권이 온갖 시행착오와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정치개혁 차원에서 합의하고 발전시켜 온 제도적 장치다. 텔레비전 토론은 또, 현대 사회에서 일반 국민들이 공직 후보자와 그 정책을 직접 접하면서 정치에 관여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통로이기도 하다. 이를 거부하는 게 국민의 알권리 침해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난 16대 대선에서도 선두를 달리던 후보가 한사코 텔레비전 토론을 피했다. 다른 이유도 있었겠지만, 그는 낙선했다. 의혹이나 약점을 당당하게 설명해내지 못하면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없다는, 살아있는 교훈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