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2.30 18:49 수정 : 2007.12.30 19:17

사설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처남인 김재정씨와 형 이상은씨, 그리고 이 당선자의 측근인 김백준씨 등이 지난 28일 ‘이명박 특검법’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제기했다. 이들은 헌재 결정이 날 때까지 특검법의 효력을 정지시켜 달라는 가처분신청도 함께 냈다.

이런 움직임은 그동안 이 당선자가 공식적으로 취한 태도와 전혀 다른 것이어서 혼란스럽다. 바로 전날, 이 당선자 쪽 주호영 대변인은 라디오 방송에서 ‘특검이 신속히 수사하고 빨리 끝내야 국정 준비를 잘할 수 있지 않으냐’는 게 이 당선자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당선자 스스로 지난 16일 특검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뒤 줄곧 특검에 최대한 협조하겠다며 신속한 수사를 촉구한 터이다. 그는 27일 밤에도 자신이 다니는 교회 예배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고맙다. 특검을 받아줘서”라고 말했다. 십자가 아래서 한 말이니 빈소리가 아닐 것인데, 어떻게 바로 다음날 이런 상반된 일이 벌어졌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를 두고 헌법 심판을 낸 이들은 “당선자 쪽과 교감이 없었다”고 말하지만, 친인척과 측근들이 한 일을 당선자가 몰랐다는 말을 국민이 선뜻 믿을까. 설령 당선자가 나중에 이를 알았다고 하더라도 ‘나와는 관계없다’는 식으로 계속 모른 체하거나 묵인할 일은 아니다. 그런 태도는 결국 한 입으로 두말하는 꼴로 국민한테 비친다.

특검에 제동을 걸려는 당선자 주변의 온갖 시도가 정작 당선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해야 할 것 같다. 애초 이 당선자가 특검을 수용한 것은, 자신이 비비케이를 설립했다고 말하는 동영상의 공개로 의혹이 커졌기 때문이었다고 봐야 한다. ‘이명박 특검법’은 검찰 수사론 의혹을 풀 수 없다는 국민들 시선 말고도, 당선자 스스로 자청한 것이기도 하다는 얘기다. 그렇게 받아들인 특검을 지금 되물리거나 무력화한다면 당선자는 자신에게 씌워진 의혹과 허물을 깨끗이 씻을 수 없게 된다. 그 앙금은 장차 정치적 지지가 약해졌을 때 정당성을 공격받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

이 당선자는 물론 한나라당이나 그 주변이 할 일은 따로 있다. 다짐해 온 그대로 곧 출범할 특검 수사에 협력하면 된다. 특검에 이것저것 간섭하거나 족쇄를 채우려 하는 것은 당당하지 못할 뿐 아니라, 권력을 들이대는 부당한 압력으로 여겨진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