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8 19:51 수정 : 2008.03.18 19:51

사설

통합민주당이 어제 초경합 지역 공천자를 발표함으로써 지역구 공천을 거의 다 마무리했다. 현재까지 이뤄진 민주당의 공천은 ‘박재승 혁명’으로 일컬어질 정도로 우호적 평가를 받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인물난 때문에 현역의원 위주로 공천해 참신성이 떨어지지만, 텃밭인 호남에서는 현역의원 35%를 교체할 정도로 대대적인 물갈이를 했다.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과 측근까지 탈락시킴으로써 여당의 공천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까닭인지 최근 여론조사 결과, 서울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대부분 참패할 것이라는 애초의 예상을 깨고 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의 견제 세력이 될 수 있는 정치적 기반은 마련한 셈이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미확정 20여 곳의 이른바 전략 공천 지역과 비례대표 후보를 어떻게 선정하느냐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이를 둘러싸고 여러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어디를 전략지역으로 선정할지부터 누구를 공천할지 등에 대해 두 공동대표와 박재승 공심위원장 등 지도부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특히 박상천 대표는 애초 호남 5곳의 전략 공천권을 요구했다가 반대 여론에 부닥쳐 취소하기는 했지만, 옛 민주당계 인사를 전략 공천으로 배려할 것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손학규 대표 쪽도 공천 배제 조항에 걸려 탈락한 사람과 지역구 낙천자 중 일부를 전략 공천으로 구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누구를 공천할지는 정당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문제임은 물론이다. 그러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민주 정당으로서 앞으로 이명박 정부 견제 세력이 되고자 한다면 공천 작업은 내부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아니라 유권자인 국민의 뜻을 기준으로 삼아 이뤄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전략 공천이란 상대 당 후보에 맞서는 적임자를 공천하자는 것이지 정치적으로 적당히 타협하고 야합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만일 옛 열린우리당과 옛 민주당의 ‘균형 공천’을 명분으로 남은 전략 지역에서 계파간 나눠 먹기를 시도한다거나 이미 걸러진 문제 인사들을 다시 내세워서는 그나마 얻은 국민의 관심을 스스로 차버리는 일이 될 것이다.

비례대표 선정도 마찬가지다. 당 대표 등 정당 지도자가 자기 사람을 심으려는 생각은 꿈에도 해서는 안 된다. 그러자면 비례대표 공천심사위 구성부터 사심을 버려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