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24 20:29 수정 : 2008.03.24 20:29

사설

통합민주당이 어제 발표한 비례대표 국회의원 공천자 명단에는 최문순씨가 이른바 당선 안정권에 들어있다. 최씨는 지난달까지 <문화방송> 사장을 지냈다. 그 이전에는 문화방송 노조위원장과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으로 ‘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앞장서 외치던 언론인이다. 그런 이가 퇴임한 지 한 달도 안 돼 특정 정당에 공천을 신청한 것도 충격이거니와, 그를 버젓이 공천한 민주당의 결정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

최 전 사장 공천은 언론계에서 정치권으로 곧바로 몸을 옮긴 몇몇 언론인들의 부적절한 처신 중에서도 특히 두드러진다. 언론인의 정계 진출은 재직 중의 불공정 보도에 대한 대가이거나 앞으로의 이용 가치에 대한 정략적 계산의 결과로 받아들여지는 게 현실이다. 그런 마당에 방송의 최고 책임자인 최 전 사장이 특정 정당의 공천을 받게 되면, 재임 중 그와 동료 언론인들의 공정방송 노력까지 통째로 의심받게 된다. 불공정 보도의 대가로 공천을 받은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올 법하다.

개인의 정치적 영달 뒤에 소속 언론사나 언론계 전체가 받을 신뢰의 위기는 다른 누구보다 크다.

그의 정계 진출은, 방송 독립을 지키려는 움직임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될 수 있다. 방송계와 시민사회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최시중씨의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반대하는 것은, 최씨가 보여온 정치적 편향이 언론 독립을 침해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여야의 어떤 정치세력으로부터도 독립된 언론은 언론운동가였던 최 전 사장의 주장이기도 했다. 최 전 사장 공천으로 이런 주장은 자칫 비웃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는 “언론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막을 시급하게 만들기 위해 공천을 신청한다”고 주장했지만, 그의 행보만으로 이미 언론 독립성은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는 게 후배 언론인들의 비판이다.

이제라도 금도를 넘은 일부 언론인들의 무분별한 정계 진출에 대한 제동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비례대표 의원 출마와 정무직 진출에서도 지역구 출마 때처럼 일정 기간 전에 미리 사퇴하도록 법률로 정하고, 구성원들의 합의로 윤리강령을 만들어 이를 어긴 이의 배제를 정당 등에 요구하는 방안 등이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언론인들이 스스로 자존심과 긍지를 회복하는 게 먼저다. 그러자면 최 전 사장도 자신의 거취를 다시 고민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