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4.01 19:40
수정 : 2008.04.01 19:40
사설
일방적인 하향식 공천과 자기 사람 심기 등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민은 주요 정당의 물갈이 공천을 다소나마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정치권이 부정과 비리로 얼룩진 낡은 정치와 결별하고, 이제부터는 새로운 정치를 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선거일을 일주일 앞둔 현재까지 드러난 선거운동의 모습은 한마디로 아니올씨다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의 유력 후보들이 각 선관위에서 주최하는 토론회에 잇따라 불참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토론회가 무산됨으로써 유권자들은 후보들이 내놓은 정책의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한 기회를 잃었다. 대신 후보들의 일방적인 자기선전이나 누가 앞선다는 등의 판세 보도만 듣게 됐다. 그 결과 정책 선거가 아니라 조직과 바람 선거가 다시 난무하고 있다.
문제는 주요 정당의 대응이다. 경쟁적으로 새로운 사람을 공천했으면 선거운동에서는 정책선거, 깨끗한 선거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애쓰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선거운동의 혁명을 가져오겠다고 다짐하는 정당을 찾아 볼 수 없다. 또 문제가 터져 나와도 당 지도부는 짐짓 모른 체 외면하거나 미지근하게 눈가림식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상대 정당에 책임 떠넘기기에만 열중할 뿐 자기 당 후보의 토론회 참여를 독려하는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정당 지도부가 앞장서 지역주의를 부추기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 정당의 부활을 노리는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의 노골적인 발언은 두말할 것도 없지만, 여당인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가 연일 영남에서 지역주의를 자극하는 지원 유세 행태는 여러 면에서 걱정스럽다. 아무리 한 자리 더 얻는 게 급하다고 해도 여당 대표가 망국병인 지역주의를 부추겨서야 되겠는가.
돈선거도 마찬가지다. 한나라당 강원도 태백·영월·평창·정선 후보였던 김택기씨에 이어 경북 경주의 친박연대 김일윤 후보 쪽 운동원이 현금을 건네다가 현장에서 붙잡혀 충격을 주고 있지만, 당 차원의 대응은 안이하다. 해당 후보의 교체(한나라당)나 제명(친박연대)은 지극히 당연한 조처일 뿐이다. 사후 꼬리 자르기에 앞서 당 차원의 암행 감찰이나 대국민 사과 등 특단의 조처를 취해야 한다. 남은 기간이나마 정책선거가 이뤄지도록 하자면 정당 지도부가 나서야 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