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08 20:50 수정 : 2008.04.08 21:55

사설

4·9 총선, 유권자의 선택 ④

선택의 날이 밝았다. 선거기간 내내 자욱했던 안개가 걷히고, 오늘 유권자들의 한 표를 통해 민심은 그 실체를 드러낼 것이다.

18대 총선이 유난히 불투명했던 덴, 과거 어느 때보다 정치구도가 혼란스러웠던 탓이 크다. 여야 대결구도는 실종되고, 여당과 여당에서 떨어져 나간 정당, 후보들의 싸움이 더 요란스러웠다.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무성 의원의 8일 발언은 기묘한 선거의 극치를 보여준다. 그는 선거가 끝나면 한나라당과 친박연대가 합당하고, 친박 무소속 당선자들도 모두 한나라당에 복당하겠다고 밝혔다. 선거 때는 갈라져 싸우다가 선거가 끝나면 다시 합치겠다니, 그럼 도대체 유권자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투표를 하라는 말인지 알 수 없다. 이렇게 되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지지 기반을 확인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선거 자체가 갖고 있는 정치적 의미는 사라져 버린다.

총선이란 제각기 다른 색깔을 가진 정당들이 자신의 정책을 국민에게 보여주고 선택을 받는 장이다. 같은 색깔을 가진 사람들끼리 세력 다툼을 위해 선거를 이용하는 건 옳지 않다. 유권자들도 그런 싸움에 관심을 가져선 안 된다. 각 정당의 색깔과 정책을 보고 투표에 나서야 한다.

결국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가장 유념해야 할 부분은 정부 여당의 국정운영 방향에 지지를 보탤 것이냐, 아니면 거대 여당의 독주를 막고 야당에 힘을 실어줄 것이냐 하는 판단이다. 어느 쪽이든 유권자들의 선택이 앞으로 4년의 정치 지형을 결정할 것이다. 후회 없는 선택을 위해선, 현정부의 정책 기조와 여야 정당이 내세우는 공약 내용을 다시 한번 찬찬히 살펴보고 투표에 임해야 하리라 본다. 남북 관계가 경색되더라도 북핵 문제 등에서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겠다는 정부의 대북정책은 옳은지, 경기 부양을 이유로 법인세·소득세 등의 감세 정책을 쏟아내는 기조는 바람직한지 등을 하나하나 따져봐야 한다.

특히 공약엔 빠졌더라도 정부와 여당이 실제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 사안들을 눈여겨보고 평가하는 게 필요하다. 대표적인 게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다. 이번 총선이 대운하 추진에 관한 신임투표는 아니지만, 집권 여당은 공약에서 감추고 정부는 추진 준비를 착착 진행하는 상황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는 있어야 하리라 본다.

민주주의는 참여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이번 총선의 투표율이 역대 어느 선거보다 낮을 것이란 예측은 기우로 끝나야 한다. 투표율이 낮으면 유권자들의 뜻이 선거를 통해 제대로 표출됐다고 말할 수가 없다. 고현철 중앙선관위원장의 담화처럼 “정치가 바로서고 나라가 발전하려면 투표에 참여해 국민의 진정한 힘을 보여주는 게” 필수적이다. 특히 투표장에서 20대와 30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젊은이들이 “재미없다”고 말하는 그 정치를 바꾸려면, 스스로 투표장에 나가 자신의 생각을 표로 나타내야 한다. 그래야 노년층과 젊은층의 뜻이 함께 어우러지며, 선거가 진정한 선택의 장으로 설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