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21 22:33 수정 : 2008.04.21 22:33

사설

삼성이 조만간 경영쇄신안을 발표한다고 한다. 특검 수사에 따른 후속 조처다. 그렇다고 단순히 수사 결과에만 부응하는 소극적인 쇄신안이 돼선 안된다. 다들 근본적인 쇄신안을 기대하고 있다. 그럴려면 몇 가지 문제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내놔야 한다.

먼저 경영권 불법 승계 문제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있어야 한다. 특검 수사까지 부른 삼성 문제의 핵심은 경영권 불법 승계에 대한 논란이다. 경영 능력을 검증받지도 않은 이재용씨가 겨우 16억원의 세금만 내고 삼성 그룹을 통째로 승계한다는 것은 법적인 논란을 떠나 상식적으로도 용납이 안 된다. 이재용씨가 경영권 승계를 포기하건, 아니면 세금으로 그 문제를 풀지는 삼성이 결정할 일이다. 하지만 이 사안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쇄신안을 내놓지 않으면 삼성 문제는 끝나지 않는다.

전략기획실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에 분명히 하고 넘어가야 한다. 전략기획실은 편법 조직이다. 구성원들은 각 계열사 소속으로 월급은 계열사에서 받는다. 그러면서도 그룹 전체의 사업과 인사 등을 기획하고 총괄 조정하는 일을 한다. 법적인 책임도 안 지면서 초법적인 권한만 행사하는 것이다. 불법과 편법이 혼재된 기형적인 조직이다. 단순히 경영에 관련된 일만 하는 것도 아니다. 이번 특검 수사에서 드러났듯, 회장 개인의 재산 관리도 주요 역할 중 하나다. 이번 기회에 폐지 등을 포함한 획기적인 조직 정비가 있어야 한다.

삼성 사태와 관련 있는 당사자들에 대한 책임도 엄중히 물어야 한다. 이번 특검 수사로 삼성 비리와 관련된 핵심당사자들이 드러났다. 그동안 삼성을 실질적으로 이끌어온 인사들이다. 책임을 져야할 당사자들로는 이건희 회장을 비롯한 이학수 전략기획실장, 김인주 차장 등이다. 일부에서는 이들이 없으면 난국을 풀어나갈 수 없다는 이유로 이들의 경영 일선 퇴진에 반대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에 대해 합당한 책임을 묻는 것은 삼성 쇄신의 기본이다.

삼성 특검 수사가 미진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그에 대한 비판도 쏟아지고 있다. 삼성은 이런 상황을 충분히 감안해 특검 수사에서 드러난 것 이상으로 근본적인 쇄신을 해야 한다. 특검에서 드러난 몇몇 문제들에 대해서만 적당히 미봉하려 하다간 더 큰 화를 부른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