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22 21:42 수정 : 2008.04.22 21:42

사설

지난 3일 김제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이후 20여일이 지났지만, 아직도 확산의 공포가 계속되고 있다. 전북과 전남은 물론 경기도의 평택까지 5개 시·군 17개 농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확인됐고, 아직도 15곳에 대한 검사가 진행중이다. 또 살처분에 참여한 군인 1명이 조류인플루엔자 의심환자로 격리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살처분 지역에서 침출수 누출의 위험이 제기돼 주민들의 식수 및 농업용수조차 위협받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당국의 느슨한 방역과 양계농가의 안이한 대응 탓이 크다. 이번 조유인플루엔자는 정부가 정한 비상근무기간이 끝난 뒤 발생함으로써 방역의 허를 찔렀다. 그럼에도 당국의 대응은 느슨했다. 정치인들의 차단지역 방문을 허용하는가 하면 살처분 과정에서도 충분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감염된 닭이나 오리를 당국에 신고하지 않은 채 유통시킨 농장주나 이동제한구역 내의 오리를 무단반출한 유통업자도 사태를 악화시켰다. 그 결과 현재까지 500여만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됐고, 김제와 정읍에선 양계산업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선 당국의 철저한 방역과 농장주 및 유통업자들의 협조가 절실하다. 아울러 피해농가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과 지원방안 마련도 긴요하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예방 프로그램 마련이다. 2003년과 2006년 두 차례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2천억원 이상을 썼고 이번에도 최소한 4백억원 정도가 살처분 보상금 등으로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전 감시체계가 구축돼 제대로 작동됐더라면 쓰지 않아도 될 비용이다. 정부가 뒤늦게나마 종합대책 수립에 나선다고 했으니 이번 사태 해결을 넘어서는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