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23 19:28 수정 : 2008.04.23 19:28

사설

티베트 사태를 둘러싸고 중국과 국제사회의 대립 양상이 심각하다.

지난달 10일 라싸에서 시작된 티베트인들의 봉기를 무력으로 진압한 중국 정부에 항의하는 시위가 성화 봉송로를 따라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전역에서 홍역을 치른 성화는 어제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수천명의 시위대와 맞닥뜨렸다. 27일로 예정된 국내 성화봉송 역시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성화봉송 주자로 내정됐던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최승국 녹색연합 사무처장이 지난달 26일 “부도덕한 무력행사를 하는 나라의 잔치를 거들고 싶지 않다”며 봉송 포기를 선언했던 김창현씨의 뒤를 이었다. ‘북경올림픽 성화봉송 저지 시민행동’을 위시한 여러 단체들도 봉송 저지를 공언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는 국제사회의 이런 움직임에 날카롭게 반응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을, 오랜 잠에서 깨어나 세계 경제의 엔진으로 복귀한 중국의 모습을 만방에 자랑할 베이징 올림픽을 훼손하려는 국제사회의 음모라고까지 본다. 성화봉송을 방해한 나라의 상품 불매운동과 반대시위도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휩쓰는 애국주의 물결은 10억이 넘는 인구를 가진 대국이자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문화국가로서의 모습이 아니다. 티베트의 봉기는 중국 정부에서 이야기하듯 달라이 라마를 비롯한 외부 세력의 계획과 음모에 따른 것이라고 치부할 수 없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 1951년 티베트를 병합한 중국은 이곳에 한족을 이주시켜 경제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권력을 장악하게 했다. 티베트 고유문화 대신 중국문화를 보급하는 동화정책도 추진했다. 이런 티베트인 배제정책과 문화말살 정책에 대한 불만이 이번 시위 과정에서 한족과 그들의 상점 등에 대한 공격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정에 비쳐볼 때 중국은 티베트 무력진압을 비판하는 국제사회를 탓하기 전에 자신의 티베트 정책, 나아가 소수민족 정책을 되돌아보는 게 우선이다. 중국은 스스로 불합리한 정책을 바로잡고, 자국민의 인권을 존중하며 국제사회의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성숙한 자세를 보일 때다. 그래야만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는 것은 물론,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국력에 걸맞은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