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27 21:29 수정 : 2008.04.27 21:29

사설

북한이 이명박 대통령의 남북연락사무소 제안을 거부하고 나옴으로써 남북관계는 앞으로도 한동안 경색국면을 면치 못하게 됐다. 북한은 이 대통령이 지난 17일 <워싱턴 포스트>와 인터뷰에서 밝혔던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에 대해 그제 ‘누구에게도 통하지 않는 요술은 걷어치워야 한다’는 <로동신문>의 논평을 통해 거부의사를 분명히했다. 신문은 이 대통령의 제안은 “북남관계 악화의 책임을 회피하며 여론의 시선을 딴 데로 돌리기 위한 얕은 수에 지나지 않는다”고 평가하고, 이 대통령에 대해서도 ‘일자 무식쟁이’, ‘정치 몽유병환자’ 등의 폭언을 퍼부었다.

새 정권 등장 이래 악화일로를 걸어온 남북관계의 개선을 바라는 우리로서는 북한의 이런 대응에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남쪽의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에 부정적이었던 북쪽의 태도에 비춰볼 때 제의 거부는 그렇다 치더라도, 추후 대화의 상대가 될 수밖에 없는 남쪽 지도자에 대한 폭언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북쪽은 남북 사이의 최소한의 신뢰 유지를 위해서라도 품위있게 처신하기 바란다.

그러나 남북관계를 지금과 같은 상황으로 끌고 온 데는 남쪽 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 할 수밖에 없다.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만 해도 그렇다. 북쪽의 말대로 남쪽의 연락사무소 제안은 처음이 아니다. 1992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따라 남북대화 실무기구 성격의 연락사무소가 설치된 적이 있고, 2000년 6월 첫 남북 정상회담 뒤에도 여러 차례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이 있었다. 그 때마다 북쪽은 국가 사이가 아니라 “민족 내부간 특수관계인 남북간에 두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거절해 왔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의 제안이 나왔을 때부터 북쪽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다. 집권 이래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남북경협이 없다는 등의 강경론만 펼치던 남쪽이 첫 공식대화 제안으로 연락사무소를 들고 나온 것을 북쪽이 진정성 있는 제안으로 보긴 어렵다고 판단됐기 때문이다.

이제라도 남북 관계의 경색된 국면을 풀어 나가려면 남북 양쪽의 신뢰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최소한 남쪽은 조건없는 대북 인도적 지원 등을 통해 진정한 대화의지를 보이고, 북쪽은 쓸 데 없는 강경발언으로 남쪽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지 말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