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01 20:57 수정 : 2008.05.01 20:57

사설

농사를 짓지 않으면서 춘천에 농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이 드러나 논란이 됐던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또다시 입방아에 올랐다. 먼저, 2004년 농지를 살 때 이 대변인은 명의자인 부인이 국내에 있는데도 외국에 나가 있다며 거짓 위임장을 작성해서 자신이 농사를 짓겠다는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했다는 것이다. 거짓 계획서를 누가 썼느냐가 핵심이다. 이 대변인은 공동매입자가 부동산 중개업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로 작성했다고 한다. 이 부분에 대한 논란은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영농계획서의 필적을 대조해 보면 된다.

두번째는 기사 보도와 관련해 외압을 행사했는지 여부다. 현재까지 나온 내용을 종합하면, 이 대변인은 <국민일보> 편집국장 등에게 전화를 걸어 “새로운 팩트가 아니니 상식에 맞게 처리해 달라”며 “좀 봐줘”라고 말했다. “이번 건을 넘어가주면 은혜를 반드시 갚겠다 ”는 말도 했다는 게 국민일보 노조 쪽의 얘기지만, 이 대변인은 그런 말을 한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 이 정도만으로는 이 대변인이 기사를 빼라는 압력을 행사한 것인지 아니면 가급적 기사화하지 말도록 언론사 입사동기에게 부탁했는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압력이든 부탁이든 이 대변인의 처신은 매우 부적절하다. 누구든 기사 내용에 틀린 부분이 있다면 바로잡아줄 것을 요청할 권한이 있지만, “봐줘”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한 것은 압력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도를 넘은 행위다. 잘못이 없다면 대체 뭘 봐 달라는 것인가.

더구나 시대가 변했다고는 하지만, 권력 실세가 이런 식으로 얘기하는 것은 수용자 쪽에서는 압력으로 느낄 수 있다. 청와대가 기사를 막는 등 언론에 압력을 넣은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박미석 전 사회정책수석의 논문표절 의혹이 불거졌을 때도 국민일보 경영진에게 전화를 한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거듭된 이런 행태가 언론을 당근과 채찍으로 통제했던 과거로 돌아가려는 신호탄이 아니길 바란다.

청와대 대변인은 국가수반인 대통령의 언론 창구로서 언론 정책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언론과의 관계에서 신중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대변인은 이번 일과 관련해 자신의 말에 조금이라도 거짓이 있다면 그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 국민일보 외압 의혹에 대해서도 진상을 밝히고 사과하는 것이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