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07 19:57 수정 : 2008.05.08 11:03

사설

어제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의 ‘쇠고기 청문회’는 정부의 책임 회피 자세로 부실하게 끝났다. 한-미 쇠고기 협상에 대한 의혹과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을 청문회를 통해 해소하고 잘못된 대목은 바로잡기를 기대했으나, 아쉽게도 성과를 내지 못했다. 되레 답답함과 의혹을 더 부풀린 꼴이 됐다.

청문회의 핵심 쟁점은 정부가 어떤 근거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태도를 바꿨으며, 검역주권을 다 내주다시피 하면서 부랴부랴 협상을 타결 지었는가 하는 점이다. 위생조건을 완화한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 정도는 어떠하며, 문제가 있으면 지금이라도 재협상에 나서거나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또한 핵심 쟁점이다. 이런 의혹은 정부 내부 문건과 의학적 근거에서 비롯된 것들로, 하나하나가 국민적 관심사다. 청문회 직전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은 정부가 핵심 쟁점에서 후퇴한 채 협상에 들어갔다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적시된 대외비 문건을 공개해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이런 의혹에 속 시원한 답변은 하나도 없었다. 정부는 국제 기준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협상에 임했으며,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30개월 이상 된 쇠고기 수입 길을 터 놓고는 ‘미국에서 도축되는 소의 97%가 20개월 미만으로 굳이 10개월 이상 사료를 더 먹여서 한국에 수출할 이유가 없다’, ‘미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하면 민간에서 수입을 하지 않으면 된다’고 한 답변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정부의 태도를 보면 아예 협상 과정과 내용을 불문하고 이번 협상은 지키고 보호하겠다는 ‘협상 사수론’으로 무장한 듯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처럼 책임 회피적이고 상황을 모면하려는 듯한 태도로 일관할 수 없다.

정부는 미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하면 수입을 중단하고 재협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도 시·도 업무보고에서 국민의 건강이 중요하다며 그렇게 말했다. 당연한 조처인 것 같지만, 협상 당사자인 미국은 재협상이나 합의 내용 변경은 불가하다며 그럴 가능성을 일축했다. 앞으로 문제가 생기면 바로잡겠다는 것인데, 그마저도 실효성이 의문시되니 믿음이 안 간다. 국민은 앞으로가 아니라 지금 불안하다는 것이다. 이번 협상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바로잡지 않으면 불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