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11 21:26 수정 : 2008.05.11 21:26

사설

이달 초 미얀마(버마)를 덮친 사이클론 나르기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군사정부 쪽은 사망·실종자가 수만명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적어도 10만명, 많게는 수십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도 수천㎢의 저지대가 물에 잠겨 있고, 거처를 잃고 떠도는 이재민이 200만명을 육박한다. 2004년 말 인도양 해안 10여 나라를 휩쓴 지진해일 때와 맞먹는 참사다. 국제사회의 대규모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런데도 군사정부는 오히려 피해를 키우고 있다. 군사정부는 국제사회에 돈과 물자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구호인력의 자유로운 입국은 한사코 거부한다. 자국민을 억압해 온 통치기반이 흔들릴까봐 걱정이 돼서다. 그러다 보니 이제까지 국제사회의 지원물자를 실은 비행기가 겨우 두 대만 미얀마 땅에 내렸을 뿐이다. 시간당 한대 꼴로 비행기가 지원물자를 실어날랐던 지진해일 때와는 딴판이다. 그나마 군사정부는 지원품 상자에 군부 인사의 이름을 붙여 나눠주고 있다고 한다.

나아가 군사정부는 그제 영구집권을 꾀하는 내용의 개헌안 국민투표를 강행했다. 휴가 금지령이 내려진 공무원들은 투표 독려 등에 집중 동원됐다. 참사 대처보다 권력 강화에 더 신경쓰는 군사정부의 이런 모습은 나라 안팎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반세기 가까이 집권한 군사정부는 지난해 9월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유혈로 진압한 뒤 주민 감시체제를 대폭 강화한 바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전염병 창궐과 아사자 발생 등 2차 재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다. 아직 많은 지역이 외부와 접촉이 끊어진 상태이며, 직접 피해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군사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구호활동을 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구호인력이 들어가기 어려우면 공중에서라도 지원물자를 떨어뜨려야 한다는 제안도 그 중 하나다.

참사에 대처할 의지와 능력이 없는 군사정부가 외국의 구호인력 입국까지 막는 것은 위기에 처한 주민들을 간접 살해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피해를 줄이려는 인도적 지원에 어떤 제한도 있어선 안 된다. 국제사회는 신속하게 지원을 펼치고 군사정부는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만이 더 큰 참사를 막을 수 있는 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