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19 20:50 수정 : 2008.05.19 20:50

사설

오늘 열릴 <한국방송>의 임시 이사회에서 정연주 사장 사퇴권고 결의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한다. 여러모로 정치적 배경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명박 정부의 여러 인사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과 최근의 지지율 하락을 방송 탓으로 돌리는 마당이어서, 때가 공교로운 탓이다. 그렇지 않아도 정 사장은 정부와 보수언론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왔다.

따지자면 한국방송의 내부 일인 정 사장의 진퇴 문제가 관심을 모으는 것도, 정부가 그를 몰아내는 데 전력을 다하는 것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이번 이사회를 앞두고서도 정권 차원의 압박이 전방위로 벌어진 듯하다.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주 김금수 한국방송 이사장을 만나 정 사장의 사퇴를 요구한 것이 한 사례다. 그는 지난 3월에도 김 이사장에게 사장 교체에 협조해 달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한국방송 사장을 물러나라고 할 아무런 법적 권한이 없는 그가 이런 말을 하고 다니는 것은 월권이다.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는 방통위원장 직무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장 교체에 반대하는 이사들에 대한 유형무형의 압박도 있다고 한다. 2006년부터 한국방송 이사였던 신태섭 동의대 교수는 갑자기 학교 쪽으로부터 정부의 감사 압박이 있으니 이사직에서 물러나라는 종용을 받았다고 한다. 그 말고도 일부 이사에 대한 검찰 수사설도 있다. 사실이라면 방송을 입맛대로 장악하려는, 불순한 공작이다.

이런 무리수가 퇴행적 언론관에서 나왔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정권 유지를 위해 언론을 장악한다는 옛 군사정권식 사고방식에 젖은 이들에겐 공영방송이 그저 ‘정권의 나팔수’로만 보일 것이다. 최 위원장이 ‘이명박 정부의 지지율 하락이 방송 때문이며, 그 원인 중 하나가 조기 사퇴 요구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정연주 사장 때문’이라고 말한 것은 이런 잘못된 생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이다.

정 사장이 퇴진하면 다음 사장 후보로는 이 대통령 선거 캠프에서 핵심적 구실을 한 인사가 유력하다고 한다. 그런 이를 내세운다고 방송이 정권의 뜻대로 만들어지지도 않을 것이며, 또 그렇게 한다고 해서 정권의 지지율이 오를 리가 없다. 우리 사회는 이미 그런 시대에서 한참 멀리 벗어나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