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29 20:54 수정 : 2008.05.29 20:54

사설

뉴스전문 채널인 <와이티엔>(YTN)의 차기 사장 후보가 이명박 대통령의 언론특보 출신인 구본홍씨로 정해졌다. 구씨는 사장후보 공모가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이명박 정부가 사장으로 내정해둔 사람으로 알려졌다. 노조와 언론단체들의 반대에도 결국 그리 결정된 것은 정권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탓일 게다.

구씨 말고도 이 대통령 진영에서 그를 도왔던 전직 언론인 여럿이 <한국방송> 사장이나 언론재단·한국방송광고공사 등 언론 유관단체의 기관장 자리가 나기만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정권 차원에서 전방위적 언론장악 기도가 본격화한 셈이다. 그 모습 하나하나를 보면, 정치적 충성과 줄서기의 대가로 밥그릇을 챙겨주는 꼴로 비친다. 그악스럽고, 보기 추하다.

구씨 같은 이들이 방송사 사장이 되어선 안 될 이유는 명백하다. 구씨는 모두 인정하는 이 대통령의 인맥이다. 차기 한국방송 사장으로 유력하다는 김인규씨도 이명박 대통령 후보 진영에서 방송전략실장을 지낸, ‘대통령의 사람’이다. 그런 이가 방송사 사장이 되면 자신에게 논공행상을 해 준 정권의 요구를 뿌리치기 힘들 것이다. 오히려 정권 옹호에 앞장설 가능성이 높다. 그리되면 전두환 정권 때와 같은 파행과 왜곡 방송이 매일같이 벌어지게 된다. 정치적 편파성이 언론사 사장에게 치명적인 결격 요인이 되는 까닭이다.

이런 인식은 이미 우리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5년 전인 2003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이 대선 캠프의 언론정책 고문을 지낸 서동구씨를 한국방송 사장에 임명하자, 한국방송 노조와 언론, 시민단체들은 방송을 권력에서 지켜야 한다며 한목소리로 반대해 결국 8일 만에 서씨를 사퇴시켰다. 당시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도 방송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 공정성 논란이 일 것이라며 ‘대통령의 사람’의 방송사 사장 임명을 반대했다.

이런 원칙이 지금 와서 바뀔 이유는 없다. 정권의 언론장악 기도를 외면하거나 방조한다면 언론의 생명인 공정성과 독립성은 지켜낼 수 없다. 마땅히 정권이 이를 포기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자면 언론 스스로 이를 반대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특히 한국방송 노조는 그동안 지켜 온 언론민주화의 성과를 송두리째 정권에 바치지 않으려면 자신들을 겨냥한 방송장악 기도 저지에 힘을 집중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