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6.17 21:00 수정 : 2008.06.17 21:00

사설

민주당이 다음달 6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오늘부터 본격적인 경선 활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영남지역 위원장들이 불균등한 대의원 배분 등을 문제 삼아 전당대회를 거부하기로 하는 등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전당대회가 축제는커녕 자칫 반쪽짜리가 될지도 모를 상황이다. 한마디로 무기력·지리멸렬이 민주당의 최근 모습이다.

이는 당 지도부가 당력을 모으기보다는 자기 세력 모으기에 열중하는 등 계파다툼에 급급한 탓이다. 손학규·박상천 두 공동대표 쪽 사람들이 ‘균형 있게’ 포진한 조직강화특위는 지역위원장을 선정하면서 원칙과 기준을 바꾸기 일쑤였다. 이 때문에 손학규계나 옛 민주계 인사들은 지난 총선 예비경선 탈락자까지도 손쉽게 자리를 차지했으나, 영남의 친노 쪽 인사들은 뚜렷한 이유도 없이 탈락했다. 오죽하면 손·박 두 사람이 정통 야당을 하루아침에 다 말아먹는다는 얘기가 나오겠는가.

국회 등원론 논란도 개념 없는 당 지도부의 행태를 잘 보여준다. 국회에 들어가서 싸울지 당분간 원외투쟁을 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것은 내부적으로 치열하게 고민할 일이지 바깥에 대고 떠들어 지도부의 갈등을 드러낼 일이 아니다. 더구나 등원 방법이나 시기 등은 원내대표가 결정할 사안이다. 당 대표가 독단적으로 등원하자고 주장하면서 원내대표를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조직이 제대로 굴러갈 리 만무하다.

이런 내부 다툼에 힘을 쏟다 보니 정작 중요한 민생문제에는 사실상 외면하고 있다. 화물연대와 건설노조 파업 등 노동자들의 생존투쟁 현장에 가서 의견을 수렴해서 정책으로 연결하려는 움직임을 찾을 수 없으며, 고유가와 곡물가 상승, 쇠고기 수입 등에 관한 제대로 된 정책 대안도 내놓고 있지 못하다. 국민이 주도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해 기껏 ‘곁불’만 쬐고 있을 뿐이다.

국민의 태반은 지금 제1야당인 민주당의 전당대회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국민의 관심권 밖에 있다는 얘기다. 여권이 총체적 난국에 빠졌는데도 민주당 지지도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정당으로서 심각한 위기다. 문제는 당 지도부가 이러한 위기를 위기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체질을 바꾸지 못하면 민주당의 미래는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