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03 21:19 수정 : 2008.07.03 21:19

사설

보수적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교총)의 역주행이 볼썽사납다. 엊그제 교권 보호를 이유로 학부모의 학교 출입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해 빈축을 사더니, 이번엔 전국교직원 노동조합(전교조)이 추진하는 미국산 쇠고기 학교급식 반대 펼침막 붙이기를 정치적이라며 맹렬히 비난했다.

교총은 비난의 근거로, 전교조의 이런 활동이 학교를 정치 선전장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학습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교육과학기술부와 농림수산식품부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선전하는 홍보책자 배포 및 계기수업을 추진할 때 교총이 어떤 태도를 보였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지난 5월 교과부가 시도 교육감회의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홍보를 당부하고, 서울시 교육청이 관내 초·중·고교에 홍보책자 활용을 지시했다. 교사를 미국산 쇠고기 세일즈맨으로 추락시키는 이런 지시에 교총은 침묵했다. 시교육청이 작성한 가정통신문을 발송자 이름만 바꿔 가정에 배포하는 것을 두고서도 말이 없었다. 수업 중인 학생이 형사에게 불려나가 조사받은 것에 대해서도 보고만 있었고, 교사들이 단속요원으로 촛불집회에 불려나갈 때도 모른 척했다. 그러고도 전교조의 게시물 부착과 학부모 서신 발송 방침에 대해서만 핏대를 올리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미국산 쇠고기 학교급식 반대는 전교조가 들고 나오기 전에 이미 학부모 운동으로 자리잡았다. 촛불시위도 학생들의 급식 걱정에서부터 시작됐다. 정부 역시 학교 급식에는 한우만 쓰도록 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그런데도 교총이 미국산 쇠고기 학교급식 반대를 정치선전으로 간주하는 것은, 미국 축산업자의 대변자가 아닌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아닐 터이다.

게다가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은 당면한 현실이다. 학생의 건강과 학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광우병 위험 말고도 최근 한국 수출이 허용된 미국 도축장의 쇠고기에서 치명적인 식중독 원인균인 O157이 발견돼 미국 20개 주에서 수거하고 있다고 한다. 그 위험성을 적극 알려, 만에 하나 미국산 쇠고기로 말미암아 아이들의 학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건 교사의 재량이 아니라 의무다. 이 정부가 과거 권위주의 정권 때의 행태로 돌아간다고, 교원단체가 그 손발 노릇을 자청해선 안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