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11 19:30 수정 : 2008.07.11 19:30

사설

금강산을 찾은 남쪽 오십대 여성 관광객이 어제 새벽 북쪽 초병의 총을 맞고 숨졌다.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났다. 1998년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이후 최대 변고다. 무엇보다 유족에게 조의를 표한다. 금강산 관광이 잠정 중단되는 등 파장도 만만찮다.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국회 개원연설을 통해 보여주려 한 대북 정책의 일부 전향적 조정 시도도 빛이 바랬다.

가장 시급한 일은 정확한 진상 규명이다. 북쪽은 이 관광객이 북쪽 군사보호 구역으로 들어선 것을 보고 초병이 정지 요구를 했으나 불응해 발포했다고 주장한다. 정말 그렇게 된 것인지 책임 있는 남북 당국 차원에서 정밀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북쪽은 진상 조사에 적극 협력해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북쪽 주장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심각한 문제가 남는다. 금강산 관광지 부근에서 비무장 여성이 서성거릴 경우 남쪽 관광객으로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 여성이 일부러 군사보호 구역으로 들어갔다고 판단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그러면 숙소로 돌려보내면 그만이다. 이 부근은 남북 병사들이 대치하는 곳도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총까지 쏜 것은 명백한 과잉 대응이다. 금강산 관광지 부근에서 총을 맞을 수 있다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적절한 사후조처도 따라야 한다. 북쪽은 조사 결과에 따라 유족 및 남쪽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해야 한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한 재발 방지책도 마련돼야 한다. 금강산 관광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현대 쪽이 제대로 안전조처를 했는지에 대해서도 세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금강산 관광 사업 방식이 어떠하기에 이런 일까지 벌어졌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그렇다고 이번 일에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대응해서는 곤란하다. 진상 조사를 해 봐야 알겠지만, 이번 사건은 일단 돌발적인 성격이 강하다.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을 비롯해 전반적인 남북 관계와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섣부르게 남북 사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도 있어선 안 된다. 새 정부 들어 나빠진 남북 관계는 이번 일로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자칫 발을 잘못 디디면 길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 그 열쇠는 북쪽에 있다. 북쪽은 이번 일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