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13 21:18 수정 : 2008.07.13 21:18

사설

금강산 관광객 사망사건이 남북 갈등을 심화시키며 남북관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치는 쪽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태가 이렇게 진행되는 데엔 북한 당국의 책임이 크다. 북한 관광사업을 총괄하는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은 지난 12일 담화에서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이 사건의 책임을 남쪽에 돌리면서 오히려 우리 쪽에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또 우리 정부의 합동조사 요구를 거부했다. 순서가 바뀌어도 한참 뒤바뀐 것이다.

북한 쪽은 관광객 박아무개씨가 규정을 어기고 군사통제구역 안으로 들어온 사실을 문제 삼지만, 현장엔 특별한 경고표지판도 없었고 작은 모래언덕만 넘으면 누구나 통제구역 안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었다고 관광객들은 말한다. 설령 박씨가 규정 위반인 걸 알고 울타리를 넘어갔다고 하더라도, 북한군이 여성인 박씨를 충분히 제압할 수 있었을 텐데 굳이 조준사격을 한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북한이 우리 정부의 합동 진상조사 요구를 거부하는 건 명분이 없다. 정확한 진상 규명이 이뤄져야만 그에 근거해 북한군의 책임과 현대아산의 책임, 관광객 개인의 규정 위반 책임 등을 정확히 가릴 수가 있다. 더구나 북한 쪽의 발표만 보면, 당시 현장을 목격했던 우리 관광객의 설명과는 큰 차이가 난다. 박씨가 군사통제구역 안으로 얼마나 깊숙이 들어갔는지, 북한군 초병이 사전 경고사격을 했다는 주장은 사실인지 등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이런 부분들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지지 않는다면 남북간 신뢰엔 커다란 상처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정치적 이유로 남북 당국이 충돌하는 사안들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경위야 어떻든 이 사건의 본질은 비무장한 남한 여성 관광객이 북한 초병의 총탄에 맞아 숨졌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은 사안의 심각성을 엄중하게 받아들여 지금이라도 정확한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남북 합동조사단이 하루빨리 현장에 접근해 객관적인 진실을 밝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과 현대아산의 문제로 떠넘기는 태도를 보이는 건 옳지 않다.

진상조사 결과에 따라 북한군과 현대아산 쪽의 책임 있는 사람들은 그에 걸맞은 책임을 져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계속 확대되어야 할 남북교류에서 이런 불행이 재발하는 걸 막을 수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