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14 21:07 수정 : 2008.07.14 21:07

사설

어제 열린 <와이티엔>(YTN) 임시주주총회에서 구본홍 사장 내정자의 선출이 노조의 저지로 무산됐다. 이명박 대통령의 후보 시절 방송 담당 상임특보를 지낸 구씨의 사장 내정에 대해선, 방송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크게 해치게 된다는 우려가 많았다. 뉴스전문 채널인 와이티엔으로선 자칫 존립까지 위태로워지는 일이니, 노조를 비롯한 구성원들이 한목소리로 걱정하고 반대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명박 정부는 구씨 말고도 언론특보나 방송특보 따위를 지낸 사람들을 <한국방송> 등 방송사와 언론 유관단체 기관장으로 내정해 두고 있다. 특보 출신의 사장 내정자를 중심으로 벌써 ‘줄세우기’가 벌어지는 곳도 있다고 한다. 정부는 이제 법에도 없는 대통령의 방송사 사장 해임권까지 거론하는 등 초법적 행동까지 서슴지 않을 태세다. 방송 장악에 절차도 염치도 내던진 꼴이다.

이번 와이티엔 사태는 그런 시도가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일 수 있다. 수십여 년 언론 민주화의 현장을 이어온 언론 종사자들로선 그 민주화의 역사를 되돌리려는 정권의 낙하산식 언론장악 기도를 묵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가 방송장악 기도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론 현장의 저항과 반발은 피할 수 없게 된다.

따지자면 방송사 사장을 제 사람으로 채우면 국민의 눈과 귀를 장악할 수 있다는 발상부터가 시대착오다. ‘땡전 뉴스’로 방송을 채우던 군사정권 시대에도 진실을 온전히 가리지 못했지만, 지금은 방송 말고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와 의견을 전파하고 공유하는 시대다. 일방향 홍보 대신 쌍방향 소통의 ‘웹 2.0 시대’에선 통제와 장악은 헛된 꿈일 뿐이다. 그런 발상 자체가 곧 비민주적 정부의 징표이기도 하다.

이명박 정부는 이참에 생각을 바꿔야 한다. 와이티엔 주총을 다시 열어 구씨의 사장 선출을 강행하겠다거나, 한국방송 사장을 몰아내 제 사람으로 바꾸겠다는 시도를 접지 않는다면 갈등과 충돌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일은 정권에 부담이 되고, 사회 전체로도 불필요한 비용이다. 설령 그렇게 방송을 장악하더라도 정부와 언론에 대한 불신만 커지게 된다.

구씨 등 특보 출신들도 이쯤에서 스스로 물러날 것을 권한다. 고작 몇 해 영달을 누리겠다고 후배들을 욕보이고 언론 자유를 후퇴시키는 게 언론인의 자세일 순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