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8.05 21:33 수정 : 2008.08.05 21:33

사설

베이징 올림픽 개막을 나흘 앞두고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카슈가르에서 테러가 발생해 중국 인민경찰 수십 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사건 발생 직후 중국 당국은 올림픽의 안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다짐했지만 지난 5월 상하이의 시내버스 폭발을 시작으로 쓰촨성 라마교 사원 폭발사고, 윈난성 쿤밍의 시내버스 연쇄폭발 등 테러 의심사건이 이어진 뒤 일어난 이번 사건으로 올림픽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한층 커진 것은 사실이다.

올림픽이 애초의 뜻에서 벗어나 지나치게 상업화했다거나 강대국 사이의 국력 경쟁의 장으로 변질했다는 비판도 없진 않지만, 여전히 스포츠를 통해 세계인들이 우정을 나누는 자리임은 변함이 없다. 그러므로 세계의 평화와 인류의 우정의 제전인 올림픽을 테러 장소로 삼으려는 기도는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비판받아 마땅하다.

문제는 모든 테러가 잘못된 정치, 왜곡된 관계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아직 최종 확인되진 않았지만, 현장에서 위구르 청년 두 명을 체포한 중국 당국은 위구르 분리·독립운동 단체에 혐의를 두고 있다. 실제로 최근 ‘투르키스탄 이슬람당’이란 단체가 상하이, 쿤밍 등에서 일어난 폭발물 테러 사건의 범인임을 자처하며 올림픽 겨냥 테러를 선언하는 동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이 분리주의자들의 소행이라면, 중국 정부 역시 일말의 책임이 있다. 청대에 중국에 병합된 위구르 지역은 한족과 다른 언어, 다른 문화적 전통을 갖고 있다. 티베트와 마찬가지로 위구르의 분리주의 세력들도 중국 정부가 자신들의 종교와 전통을 파괴하고, 천연자원을 수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수많은 소수민족을 거느린 중국 정부의 고민도 깊겠지만, 티베트와 신장에서 되풀이되는 저항운동은 현재와 같은 강압정책만으로 분리독립 움직임을 잠재울 수 없음을 보여준다.

테러에 대한 대비란 명분으로 베이징에서 생업을 영위하던 농민공들을 강제 귀향시킨 조처도 자국민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수민족에 대한 강압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그렇지만, 올림픽을 지켜보는 이들 가운데 누구도 세계인의 축제가 주최국 국민의 눈물 위에서 열리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하나의 인류 속엔 가난한 이도, 소수민족도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중국이 이번 사태를 위구르족이나 기층민중에 대한 탄압의 빌미로 이용해선 안 될 이유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