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9.25 20:53 수정 : 2008.09.25 20:53

사설

이명박 대통령과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어제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열었다. 이 대통령이 제1야당 대표를 만난 것은 지난 5월 손학규 당시 대표와의 회동 이후 처음이다. 국정 동반자인 야당 대표와의 만남이 이처럼 뜸하게 이뤄진다는 자체가 정치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의미다. 청와대나 야당 모두 반성이 필요한 대목이다.

“더 이상 좋을 수 없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표현한 이날 회동에서 두 사람은 많은 부분에 합의했다. 경제 살리기와 남북 문제, 지방 행정체제 개편 문제에 대해 여야가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으며, 생산적인 국회 운영과 저탄소 녹색 성장에도 공감대를 마련했다. 세계 금융위기 등 나라 안팎으로 어려운 때에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국정 운영에 관해 큰틀에서 협력하기로 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앞으로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 수시로 만나고,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해서는 야당에도 사전 브리핑을 하기로 한 것은 원만한 국정 운영뿐 아니라 정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종부세 개정이나 촛불집회 수사, 교과서 논란 등 각론에서는 현격한 시각차가 여전했다. 물론 여야의 철학과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부분에 합의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하지만, 주요 현안에 대해 이 대통령이 진지함을 결여하고 있는 것은 여간 실망이 아니다. 유모차 엄마에 대한 경찰 수사나 촛불집회 수배자 문제 등에 대한 답변이 대표적이다. 정 대표의 우려 표명에 대해 이 대통령은 “내게 맡겨달라. 공정하게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종교 편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매우 공허할뿐더러 어떤 면에서는 다른 목소리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기보다는 여전히 자신만의 ‘법치주의’를 내세우고 있는 듯하다. 더구나 종부세 개정은 여당 내부의 반대에도 밀어붙이고 있다.

이래서는 여야의 진정한 국정 동반자 관계가 이뤄질 수 없다. 대통령이 야당 대표 면전에서는 듣기 좋게 ‘잘 알겠다’고 한 뒤 돌아서서는 언제 그랬느냐는 식으로 독단적으로 국정 운영을 하는 모습을 과거 숱하게 봐 왔다. 이 경우 자칫 여야 관계가 더 악화될 수 있다. 이 대통령은 이런 전철을 되풀이하지 말기를 바란다. 진정한 소통은 단지 귀를 여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적극적으로 수용해 국정 운영에 반영할 때 상생 관계가 열린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