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0.05 21:21 수정 : 2008.10.05 21:21

사설

세계 금융위기로 국내 중소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환율 폭등으로 큰 타격을 받은데다 자금 경색, 납품단가 인하 등이 겹치면서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전체 산업체 수의 99.9%, 전체 산업 종사자의 87.5%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우리 경제의 기반을 이룬다. 이런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국내경제 전반이 흔들리게 된다. 정부나 금융회사, 그리고 대기업 등이 중소기업 살리기에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

정부는 이달 들어 중소기업에 4조3천억원의 정책자금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하는 등 모두 8조3천억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7월의 은행권 중기 대출 순증액이 6조원이었던 점을 생각하면 그리 넉넉한 규모는 아니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모두 해결해 줄 수는 없지만 지원금액을 지금보다 대폭 늘리는 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해야 한다.

은행 등 금융회사도 중소기업 돈줄 죄기를 완화해야 한다. 금융회사들은 경제가 호황일 때는 자금을 넉넉하게 풀어주다가 사정이 안 좋으면 대출을 엄격하게 하거나 기존 대출을 회수하곤 했다. 지난 7월 6조원이던 은행권 중기대출 순증액이 8월에는 2조원으로 줄어든 것이 이를 바로 보여준다. 금융회사도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중기대출의 만기 연장 등을 신축적으로 해줌으로써 중소기업이 흑자 도산을 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중소기업이 연쇄도산하게 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은행권으로 되돌아온다는 점도 깊이 생각해야 한다.

대기업과 하청관계에 있는 중소기업들은 또다른 어려움에 처해 있다. 환율 폭등으로 원자재값이 올라 납품단가가 상승했는데도 제값을 받기는커녕 대기업한테서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경제난을 맞아 모든 기업이 어렵기는 하지만 그래도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다. 이럴 때 대기업이 최대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나눠 지려는 자세를 보이는 게 진정한 상생 경영이다.

그렇다고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정부나 은행, 대기업 등이 모두 해결해 줄 수는 없다. 궁극적으로는 중소기업 자신이 최대한 비용을 줄이면서 긴축 경영을 하고, 기술 경쟁력을 높여 자생력을 갖춰나가야 한다. 지금은 중소기업이 살아남는 게 중요하다. 그러려면 정부와 금융회사, 그리고 대기업의 지원과 중소기업의 자구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