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0.07 20:04
수정 : 2008.10.07 20:04
사설
언론의 시계바늘이 거꾸로 돌고 있다. 구본홍 <와이티엔>(YTN) 사장이 공정방송 사수를 외치는 언론인들의 입에 재갈을 물리는 극단적인 조처를 취했다. 전·현직 노조위원장 등 노조원 6명을 해고하고, 이 방송 간판프로인 ‘돌발영상’ 팀장 등 6명에겐 정직을 내리는 등 모두 33명을 징계한 것이다.
이번 사태를 통해 현정권은 1970~80년대 언론자유를 외치는 언론인들을 강제해직 시켰던 유신정권과 5공정권의 후계자임을 스스로 입증했다. 정부·여당은 와이티엔이 민영방송이라는 말로 현실을 호도하려 하지만, 구본홍씨의 임명과 그 이후의 사태 전개는 누가 뭐래도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책임이다. 대통령 특보 출신인 구씨를 날치기 주주총회를 통해 사장에 앉힌 뒤 그에 대한 반대투쟁이 전개되자 정부·여당 인사들이 앞다퉈 노조를 협박한 게 그 방증이다. 와이티엔 민영화를 언급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재허가가 안 날 수 있다고 위협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정병국 한나라당 미디어산업발전특위 위원장이 바로 그들이다.
정부·여당과 이명박 대통령은 민영방송 운운하며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대신 결자해지 자세로 문제 해결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먼저 구본홍씨를 해임하고 노조원들에 대한 징계를 전면 철회해야 한다. 그 바탕 위에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것만이 와이티엔 사태를 풀 수 있는 길이다. 백번을 양보해 구씨의 사장 선임을 인정한다 해도 그의 무능은 이미 확인됐다. 80일 동안 출근도 제대로 못할 정도로 와이티엔 내부를 장악하지 못한 사람이 어떻게 조직을 끌고 나갈 수 있겠는가?
그럼에도, 정부·여당이 구씨를 감싸고 돈다면 이는 자유롭고 공정한 언론을 수호하려는 시민사회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그 경우, 와이티엔 노조의 공정방송 사수투쟁이 그들만의 투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