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0.23 20:20 수정 : 2008.10.23 20:20

사설

내일이면 <와이티엔>(YTN) 노조가 구본홍 사장 출근저지 투쟁을 벌인 지 꼭 100일이다. 해고자 6명을 포함해 33명이 중징계를 받고, 이 방송의 대표 프로그램이었던 ‘돌발영상’이 강제 폐지되는 등 희생을 치르면서도, 공정방송을 지키고자 투쟁을 이어가고 있는 와이티엔 언론 노동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34년 전 오늘(1974년 10월24일)은, 박정희 정권과 보수언론의 야합에 의한 언론자유 유린에 맞서 ‘10·24 자유언론 실천선언’으로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의 깃발을 들어올린 날이다. 그런데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이런 싸움을 계속해야만 하는 현실에 자괴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 해임, 방송사 경찰 투입, <문화방송> 피디수첩 수사, 그리고 와이티엔 사장에 대통령 특보 임명 등, 이명박 정권이 집권 이후 내린 일련의 조처로 선배 언론인들이 강제 해직과 투옥 등을 무릅쓰며 지켜낸 언론의 자유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국제기자연맹(IFJ)이 한국의 언론자유 침해 실태를 확인하겠노라며 실사단을 파견하기로 했겠는가?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책임은 전적으로 현 정권에 있다. 와이티엔만 봐도 그렇다. 신재민 문화관광체육부 장관을 비롯한 현 정부 인사들은 와이티엔 사태를 민간기업의 노사문제라며 정부는 모르는 일이라고 시치미를 뗀다. 그러나 이 정권이 대통령 특보 출신인 구본홍씨를 사장으로 앉힌 데서 지금 사태가 비롯된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데 이런 주장이 먹힐 리 없다. 그러면 이 정부 인사들은 정부가 와이티엔을 포기했느니 하는 말을 흘리며 노조를 압박한다. 이대로 간다면 곧 있을 재심사에서 보도채널 재승인이 불허돼 와이티엔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위협이다. 대신 신규진입에 목을 매는 일부 보수신문에 채널을 줄 수 있으니 정권으로선 아쉬울 게 없다는 뜻일 터이다.

그러나 이런 셈법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됐다.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정권이 문제 해결을 외면하고 재허가 불허 등의 조처를 한다면 나라 안팎으로부터 더 큰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이미 수많은 전·현직 언론인은 물론 일반시민들도 공정방송 사수 투쟁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스스로 과오를 인정하고 원점에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언론탄압국이란 오명을 벗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