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1.09 21:55 수정 : 2008.11.09 21:55

사설

미국 자동차 산업을 살리는 것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최우선 과제가 된 듯하다. 전미자동차 노조의 지지를 받은 오바마 당선자가 고용 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에 관심을 쏟는 것은 당연하다. 지엠·포드·크라이슬러 등 ‘3대’ 자동차 회사가 문을 닫으면 무려 300만명이 일자리를 잃는다고 한다.

미국 정부는 자동차 회사를 지원하는 한편, 한국·일본 등의 경쟁사에 압박 수위를 높일 것이다. 오바마 당선자는 “수십만대의 자동차를 미국에 파는 한국이 미국차를 수천대만 수입하는 것은 자유무역이 아니다”라며 불편한 시각을 여러 차례 드러냈다. 자동차 관련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한국에 유리하게 이뤄졌다며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전체 수출의 30%를 미국에 내보내고 있는 한국 자동차 업계로서는 비상한 상황을 맞게 됐다.

미국의 보호주의가 아니더라도 세계 자동차 업계는 치열한 생존경쟁 속에 격변 중이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400만대 가까운 생산 및 판매 실적으로 오랜 꿈인 글로벌 톱5에 올랐다. 현대차는 기술 장벽을 뚫고 과점체제 진입에 성공한 유일한 후발업체로 꼽히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이만한 성과도 기적에 가깝다며 앞날을 걱정하는 실정이다.

대립적인 노사관계는 현대차의 경쟁력에 가장 큰 저해 요인이다. 노사 갈등의 뒤편에는 생산량을 늘려 순위 올리기에 급급한 경영진과 실리 챙기기에 급급한 노조의 이해가 잠복해 있다. 대립적이면서 담합적인 노사관계로 말미암은 후진적 생산방식과 낮은 생산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다. 노사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전후방 연관효과가 막대한 자동차 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켜야 한다.

노조는 회사가 어려워지면 고용을 보장하지 않을 것이라는 불신이 깊다. 동시에 노조는 비정규직을 외면하고 물량 배정을 둘러싼 노노갈등을 일으킬 정도로 실리주의에 빠져 있다. 이런 체질로는 유연 안정성으로 높은 생산성을 갖춘 업체들과 경쟁해 살아남기 어렵다.

회사는 노동자들에게 삶의 질 향상과 고용안정을 보장하고, 노동자들은 생산성을 올려 경쟁력을 높이는 빅딜을 해야 한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임금협상에서 주간연속 2교대제로 바꾸는 큰틀에 합의한 바 있다. 노사의 신뢰와 협력으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