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1.11 22:02 수정 : 2008.11.11 22:02

사설

쌀 직불금 국정조사가 초반부터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가 국정조사의 핵심 대상 가운데 하나인 직불금 부당 수령자 명단을 제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그제부터 가동에 들어간 국정조사특위는 구체적인 일정도 잡지 못한 채 개점휴업 상태다.

직불금 불법 수령자 명단은 애초 국정조사가 시작되는 지난 10일까지 국회에 내도록 지난달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다. 보름 이상의 기간이 있었음에도 아직까지 자료 제출을 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하기 이를 데 없다. 정부 설명대로 명단을 복원하고 불법 수령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는 데 시간이 모자랄 수도 있다. 진정 그런 이유라면 국정조사가 시작되기 전에 사정을 미리 알리고 양해를 구해야 했다. 그래야 국회도 대책을 세울 것 아닌가. 국정조사가 시작된 뒤에야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명단을 못 내겠다는 것은 국회를 깔보는 태도일 뿐 아니라 국정조사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다.

더구나 정부는 일러야 다음달 초에나 명단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한다. 어이가 없다. 정부 일정대로라면 국회는 국정조사 종료(다음달 5일) 직전이나 직후에야 직불금 명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핵심적인 자료 없이 국정조사를 진행하라는 뜻이나 마찬가지다. 결국, 직불금을 부당하게 받은 정치인과 공직자 등 사회 유력인사들의 명단을 공개하기로 한 여야의 대국민 약속도 공수표가 될 터이다.

물론 직불금 불법 수령자 명단을 확인하고 공개하는 것만이 이번 국정조사의 목적은 아니다. 감사원의 감사 결과 은폐 여부와 인수위 보고 여부 등 여러 의혹 규명과 함께 직불금에 대한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는 일 등 할 일이 많다. 그러자면 여야의 진실 규명 노력과 함께 정부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정부가 처음부터 이처럼 방관하는 태도로 나온다면 국정조사는 하나마나다.

분노하고 있는 농민의 심정을 조금이라도 헤아린다면 정부는 준비된 자료만이라도 우선 제공하는 등 국정조사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야 한다. 여당인 한나라당 역시 책임이 없지 않다. 그동안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정쟁 가능성이 큰 직불금 국정조사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는 회의론이 흘러나왔다. 정부의 오만한 태도는 여당의 이런 기류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 여당의 각성을 촉구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