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1.21 19:28 수정 : 2008.11.21 19:28

사설

국가인권위원회가 추천한 ‘대한민국 인권상’ 훈장 수상 후보자를 행정안전부가 심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인권 향상에 노력해 온 개인이나 단체에 주는 인권상의 올해 후보에는 이정이 부산 민주화실천 가족운동협의회 및 부산인권센터 공동대표가 추천된 바 있다. 아직 공식적인 견해를 내놓지는 않았지만, 행안부는 관계자의 입을 통해 “이씨의 자격을 비판하는 언론보도와 성명이 잇따르는 등 검증 과정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황당하고도 한심한 결정이다. 먼저, 권위 있고 독립적인 국가기구에서 충분한 검토를 거친 다음에 단수로 올린 인권상 후보자를 정부가 무슨 근거로 거부한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인권상 후보 추천은 인권위가 밀실에서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게 아니다. 사회 각계각층으로부터 천거를 받는다. 이씨의 경우 지난해부터 한나라당 소속인 허남식 부산시장을 비롯해 설동근 부산교육감, 김인세 부산대 총장, 송기인 신부 등 부산지역 유력인사 30여명이 공동으로 추천서를 인권위에 냈다. 부산 지역사회 전체가 이씨의 공을 인정한 셈이다.

정부는 이씨를 배제한 이유로 ‘언론보도와 성명’을 들고 있다. <문화일보>와 <동아일보> 등 일부 보수 신문과 뉴라이트 등 보수단체의 문제 제기를 가리키는 듯하다. 이들은 이씨가 국가보안법 폐지 운동을 벌인 것 등을 들어 ‘친북반미 인사에게 웬 인권상이냐’고 시비를 걸었다. 이씨가 가입한 민가협의 여러 사회연대 활동도 꼬투리를 잡았다. 전형적인 색깔공세다. 문제는 일부 보수인사들의 이러한 극우적인 시각과 주장을 정부가 거르지 않은 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을 대표하는 정부가 이들의 하수인이라도 된다는 말인가.

이씨는 1980년대 말부터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을 뿐 아니라 장애인과 노숙인 수용시설, 교도소와 구치소 등 인권 사각지대를 구석구석 발로 찾아다니며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의 이런 활동으로 부산 지역에서는 ‘인권의 대모’로 불린다고 한다. 최근에는 6·15 공동선언 실천 남쪽위 부산본부 상임대표를 맡아 평양 항생제 공장 건립 등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사업도 벌이고 있다. 이런 사람에게 인권상을 주지 않는다면 도대체 어떤 사람에게 줘야 한다는 말인가. 정부는 당장 인권위와 이씨에게 사과하고, 원래대로 국무회의에 후보로 올리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