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2.12 19:44
수정 : 2008.12.12 19:44
사설
공정방송을 지켜내려는 노동조합의 투쟁을 이유로 <와이티엔>(YTN) 재승인 심사를 보류한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결정은 한마디로 부당하다. 방통위는 그제 전체회의를 열고,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공익성의 실현 가능성 등이 불확실해 재승인을 보류한다’는 재승인심사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였다. 방통위가 내세운 보류 근거는 최근 사태로 편성의 자유·독립 및 보도의 공정성 확보에 의문이 생겼고, 객관적 보도를 방해 없이 시청할 국민의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조직 구성원이 대표이사 인사명령을 불이행해 방송운영 주체로서 정상 기능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이해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이번 결정은 와이티엔이 현재와 같은 소용돌이에 빠지게 된 원인을 누가 제공했으며, 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어디 있는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현 대통령의 언론특보 출신을, 독립성을 생명으로 삼아야 할 보도전문 채널의 사장 자리에 앉히지 않았더라면 오늘의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다. 대표이사의 인사명령에 따르지 않는 것을 비롯한 노조의 다양한 투쟁은 정언유착을 막아 보도의 공정성과 편성의 자유를 지켜내려는 자기희생적 노력이다. 보도를 방해 없이 시청할 국민의 권리도 소중하지만, 항시적으로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를 접할 권리는 더더욱 소중하다. 와이티엔 노조의 ‘블랙투쟁’ 등은 시청자에게 그런 권리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뿐이다.
그럼에도 방통위는 정부·여당 관계자들이 일찍이 예고한 대로 재승인을 노조 압박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방통위 쪽은 노사 양쪽에 대한 압박이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이는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다. 와이티엔 사태는 구본홍씨만 사퇴하면 쉽사리 해결될 수 있다. 정부가 문제를 바로잡을 의지가 있다면 회사 진입조차 제대로 못하는 등 와이티엔을 끌고 갈 어떠한 지도력도 보여주지 못한 구씨를 물러나게 하면 된다.
이제 와이티엔은 재승인 보류 원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60일 안에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구씨 문제를 정리하지 않은 채 노조를 굴복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는 버리는 게 좋다. 현사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안은 지난 6개월 이상 와이티엔을 소용돌이에 빠뜨린 원인을 제공한 구씨가 자진사퇴하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구씨가 언론인으로서 최소한의 명예를 지키는 길이기도 하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