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16 20:46 수정 : 2008.12.16 20:46

사설

<동아일보>는 어제 이명박 대통령이 “(대운하를) 할 때가 되면 하고 안 할 때 되면 안 하면 되지, 미리 안 한다 할 필요가 있느냐”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와의 정례회동에서 박 대표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을 전하면서 “4대강 정비사업을 하는 대신 한반도 대운하는 국민이 원치 않으면 절대 안 한다는 것을 천명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건의한 데 대해 이 대통령이 이렇게 답변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건의를 받기는 했지만 이 대통령은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다”고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언론의 오보인지 아니면 청와대가 거짓말을 하는지는 시간이 지나면 드러나겠지만, 최근 대운하 논란을 청와대가 키우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 대통령과 청와대 수석들이 앞장서서 대운하를 부추기는 듯한 발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병원 경제수석은 “4대강 수질개선 사업이 마무리된 뒤 (대운하를) 추진하자는 국민들이 대다수라면 하지 말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했으며, 박재완 국정기획수석은 “4대강 정비사업은 다목적을 가진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한국판 뉴딜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대통령 측근들의 이런 대운하 관련 발언이 의문투성이의 4대강 정비사업과 접목되면서 대운하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것 아니냐는 국민의 의혹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강바닥을 깊고 평평하게 파는 ‘하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나 ‘슈퍼 제방’을 쌓는 일 등은 대운하의 뱃길인 주수로 공사와 내용이 같기 때문이다. 더구나 4대강 정비사업을 입안한 조직의 구성원이 대부분 지난 6월 해체됐던 대운하 추진사업단이었다고 한다. 이들이 청와대에 직접보고를 했는지는 논란이 있지만, 인적 구성이나 일반인의 눈길이 적은 한강홍수통제소에 별도의 사무실을 두고 일을 해 왔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일반적인 하천 정비 연구로 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청와대 주장대로 4대강 정비사업이 정말 한반도 대운하와 무관하다면 국민의 ‘오해’를 푸는 일은 비교적 간단하다. 이 대통령이 직접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것이다. 지난 6월 이 대통령이 “대운하 사업은 국민이 반대한다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적도 있기에 그다지 어려운 일도 아니다. 여당조차 건의한 상식적인 방안을 거부하는데 누가 의심하지 않겠는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