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21 21:45 수정 : 2008.12.21 22:43

사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차기 총재 선임을 둘러싼 논란으로 시끄럽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16일 야구위원회 이사들인 8개 프로야구 구단주 조찬모임에서 유영구 명지의료재단 이사장을 차기 총재로 내정한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체육국장이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이견을 제기하고 나섰고 급기야 18일로 예정됐던 이사회가 내일로 연기되기까지 했다.

문체부가 절차상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표면적으로는 타당한 대목이 없지 않다. 최종 승인권을 갖고 있는 문체부의 의견은 묻지도 않은 채 일부 구단주가 불참한 비공개 회의에서 합의한 인물을 새 총재 후보로 사실상 확정해 발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스포츠 단체 위원장 자리는 정부나 정치권 쪽 입김에 좌우돼 왔고 현정부가 이 자리에 박종웅 전 의원이나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절차상 문제 거론에 또다른 배경이 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문체부는 그동안 산하단체에 코드 인사를 앉히려고 온갖 무리수를 저질러온 것으로 악명이 드높다. 일찍이 정권 초기, 유인촌 장관은 노무현 정권 때 임명된 인사들의 자진사퇴를 종용해 물의를 빚었고, 저항하는 단체장들은 감사까지 동원해서 밀어냈다.

그렇지만, 야구위원회 등 스포츠 단체의 대표는 해당 위원회의 뜻을 존중하는 게 순리다. 야구위원회에서는 더이상 정부가 총재 인선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주류라 한다.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자리가 정권 차원에서 정치인에게 주는 자리가 아니라 명실상부하게 한국 야구를 대표하고 야구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람이 앉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야구위원회 총재는 이사회 재적 4분의 3의 추천을 받아 총회에서 4분의 3의 찬성을 얻어 선출된다. 문체부의 승인은 기본적으로 절차적 문제점 등을 따지는 것이지 선출에 직접 간여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봐야 한다.

이런데도 많은 야구인들이 여전히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까닭은 문체부의 전력으로 보아 이사회 전까지 무슨 일을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체부가 진정 한국 야구의 발전을 원한다면 야구위원회 쪽의 총재 선출 재량권을 인정해 정치권의 입김에서 해방시켜야 한다. 그게 한국 야구, 나아가 한국 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