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24 19:48 수정 : 2008.12.24 19:48

사설

쌍용자동차 대주주인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노조가 구조조정을 거부하면 철수하겠다’는 방침을 전해 왔다고 한다. 쌍용차는 판매 부진으로 12월분 급여를 주지 못한 상태다. 르노삼성과 지엠대우도 이달 말과 내년 초까지 한시적으로 가동을 중단해 업계에서는 1월 대란설까지 나돌고 있다. 완성차 업체의 감산과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협력업체들이 줄줄이 쓰러진다는 것이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그런 위기감이 들 만하다. 노사가 힘을 합치지 않으면 거친 풍랑을 헤쳐갈 수 없다는 게 자명한 만큼 위기일수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노사 두루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서는 안 되며 열린 자세로 고통 분담을 해야 한다. 사쪽이 어려움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노조의 희생을 강요해서는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

쌍용차 사장은 상하이자동차가 정한 시한이 내년 1월이며, 철수는 곧 쌍용차의 파산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대주주의 뜻을 확인해 봐야겠지만,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일방적으로 발을 뺀다면 무책임한 처사다. 상하이자동차는 쌍용차를 인수하면서 1조2천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쌍용차 노조는 기술유출 의혹을 제기하면서도 교대 휴무 등에 협조적이었다.

현대·기아자동차도 관리직 임금을 동결하고 전주·아산 공장의 근무시간을 단축하는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하자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위기 상황이라 하더라도 노사 합의가 필요한 조업방식 변경을 회사가 의논 없이 밀어붙일 일이 아니다. 노조는 이참에 회사 쪽이 전환배치를 이끌어내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게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회사부터 열린 자세로 머리를 맞대고 노조도 현실을 살펴야 한다. 자동차 업계의 경영난은 자동차 업계만의 위기가 아니다. 고용 창출 및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가 커 종사자가 120만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품업체들에 보증지원을 확대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