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1.09 19:26 수정 : 2009.01.09 19:26

사설

쌍용자동차 최대주주인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어제 법원에 쌍용차의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쌍용차로서는 우려했던 시나리오가 현실화된 것으로, 산업계에 미칠 파문이 클 듯하다.

상하이차는 법정관리 신청이 긴박한 유동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고육책이며 대주주로서의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추가 자금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 조처는 언급하지 않았다.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려면 회생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대규모 자본이 추가로 투입되지 않는다면 청산 또는 매각 절차에 들어갈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다.

자동차업계의 어려움이 비단 쌍용차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때, 최대주주인 상하이차의 책임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최대주주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끝까지 노력을 하지 않고 덜컥 법정관리 신청을 해서 발을 빼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도덕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법정관리 신청이 상하이차의 철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면, 대주주 감자와 채무조정을 거치므로 상하이차는 자연스럽게 쌍용차에서 손을 떼게 된다.

상하이차는 2004년 쌍용차를 인수한 뒤 해마다 3천억원씩 1조2천억원을 쌍용차 연구개발을 위해 지원하기로 약속했지만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쌍용차 노조는 상하이차가 6천억원을 쌍용차 인수에 투입한 뒤 이보다 훨씬 더 가치가 높은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 기반기술을 빼갔다고 주장한다. 쌍용차의 주력 제품이 대형 승용차와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으로 구성돼 있어 경영난이 가중됐는데, 그 근본 원인은 상하이차가 연구개발 투자 약속을 지키지 않은 데 있다. 중국 내 판매 수위를 기록하고 있는 상하이차도 경영환경이 밝지 않아 고심하는 것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식의 인수합병 선례를 남겨서는 곤란하다.

상하이차는 쌍용차 회생계획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경영 정상화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7천여 종업원과 많은 협력업체가 딸린 쌍용차가 최악의 상황을 맞도록 놔둬서는 안 되며 무엇보다 최대주주가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쌍용차는 과거에도 몇 차례 어려운 고비를 맞았으나 경영 혁신과 노사 협력으로 돌파한 저력이 있다. 쌍용차 노조와 정부, 채권단은 서로 양보해 현실적인 생존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