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1.18 21:16 수정 : 2009.01.18 21:16

사설

국정원장과 경찰청장 인사가 어제 이뤄졌다. 설 연휴를 전후해 개각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개편이 뒤따를 것이라고 한다. 이번 인사는 집권 2년차를 맞는 이명박 정부가 경제위기 극복과 원활한 국정운영의 기반을 갖출 수 있는 거의 마지막 기회다. 취임 직후의 첫 인사 실패가 현 정부에 남긴 상흔을 되돌아본다면 인사의 중요성을 깨달았을 만도 하다. 하지만 불행히도 국정원장과 경찰청장 인사에서 드러난 이명박 대통령의 인식은 지극히 실망스럽다. 앞으로 이런 식으로 개각과 청와대 개편을 추진한다면, 현 정부가 국민 신뢰를 다시 얻기란 어렵다고 본다.

새로 기용된 두 권력기관장은 모두 대구·경북(TK) 출신이다. 오래전부터 이번 개편에선 이 대통령 고향인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약진할 거란 소문이 적지 않게 나돌았다. 최근 불거진 국세청장 파문도 대구·경북 출신과 비대구·경북 출신 간의 알력 때문이란 설이 제기됐다. 국정원장·경찰청장 인선 결과가 세간의 추측과 그대로 들어맞는 걸 단지 우연으로 돌리긴 어렵다. 이제 권력기관장 네 자리 중 아직 인선이 발표되지 않은 국세청장을 제외한 세 자리는 모두 영남 출신(임채진 검찰총장은 경남)이 차지하는 셈이다.

청와대는 ‘출신지역보다 능력이 중요하다’고 할지 모른다. 과연 자신있게 그렇게 말할 수 있는지 스스로 돌아보길 바란다. 국정원장에 발탁된 원세훈씨는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시절에 서울시 행정1부시장으로 일했던 사람이다. 이 대통령과 호흡은 잘 맞을지 모르지만, 대통령과 호흡 잘 맞는 게 국정원장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아니다. 오히려 정보를 총괄하는 자리에 대통령이 편하게 여기는 사람이 가면, 정보의 편향된 소통을 가져와 대통령의 상황 판단을 그르치게 할 위험이 높다. 더구나 최근 들어 국정원은 국내 활동영역을 넓히려 무진 애를 쓰고 있다. 이런 시점에 원씨를 발탁한 건, 국정원을 정권 안보에 활용하겠다는 뜻을 솔직하게 내보이는 것 외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찾기 힘들다.

경제위기 속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국론을 통합하는 일이다. 그러려면 국민이 믿을 수 있는 인사들을 정파나 지역을 가리지 않고 과감하게 발탁해야 한다. 국정원장 인선처럼 ‘내 사람 챙기기’를 계속해선 신뢰도 통합도 영영 이룰 수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